구조

10월 062009 Tagged with , , , , , , 4 Responses

학부생들을 위한 보도자료 강의 중

살아 남는 보도자료

홍보담당자들이 매일 보도자료를 냅니다. 하지만 한 업계 출입에게 하루에 보내지는 보도자료들은
수십 개에 이르지요. 이 보도자료들 중 살아남아 기사화에 성공하는 비율은 십 분의 일 또는 수십 분의
일에도 미치지 못합니다. 그러면 살아남지 못한 보도자료는 무얼까요?

쓰레기입니다. (학생들이 황당한 답변이라는 듯이 눈을 동그랗게 뜬다)

기자들의 이메일 휴지통 그러니까 지운 편지함에 들어가잖아요. 그러니까 쓰레기죠.

보도자료가 기자들의 이메일 받은 편지함에서 살아남아 있는 기간은 얼마나 될까요?

의미 있게 살아 남아 있는 시간은 수십 초 가량입니다. 그 다음엔 쓰레기화 되지요.

어떤 부분이 보도자료를 최종적으로 살아남게 할까요? 이름입니다. 홍보담당자의 이름이 일선 요소지요. 일부에서 보도자료의 메시지가
중요하다고 하는데사실 기자들이 자신에게 온 보도자료들을 하나도 빠짐없이 한 줄 한 줄 꼼꼼히 읽기는
힘듭니다. (학생들에게 현실을 이야기 해야 한다는 믿음)

단 한사람을 위한 보도자료

(학생이 보도자료 비평 프리젠테이션을 한다) 어떻게 보도자료에 이렇게 자화자찬적 표현을
쓸 수가 있을까요? 대기업 치고는 보도자료 품질이 너무 한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 그것은 그 보도자료가 단 한 사람을 위한 보도자료이기 때문입니다. 기자들을 향하거나 이해공중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의미입니다. 보도자료는
품질을 떠나 그 자체로 의미를 가질 때가 있습니다. 조직내적인 의미이지요.

전문용어와 유행어를 사용한 보도자료

이 보도자료는 어떻게 이렇게 어려운 전문용어와 생소한 조어들을 아무렇지도 않게 사용하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이 릴리즈 한 게 아니랍니다.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의 광고를 대행하고 있는 광대행사의 PR팀에서 만들어 광고업계 출입
기자들에게 릴리즈 한 거지요. 광고계에서는 너무나 익숙하고 일반화 되어 있는 표현들을 쓴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그리고 신조어는 광고대행사에게 그 자체가 의미가 있고, 셀링
프로덕트이기 때문에 어쩔 수가 없는 거지요.


항상 보도자료를 가르치면서 홍보담당자들이나 홍보업무 지원자들에게타겟 오디언스의 중요성, 보도자료 형식의 중요성 그리고 컨텐츠의 구조와 전략성에 대해 반복적으로
설명을 하게 된다. 하지만, 실제 보도자료 생성과 유통 프로세스들을
보면 그 이외의 많은 부분들이 다이나믹스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보고 할말을 잃게 된다.

특히나 학생들에게 A가 원래 중요하지만 사실은 B
더 중요하다 말하기 뭐 한 거 아닌가





5월 292009 Tagged with , , , , , , , , , , 2 Responses

그건 네 생각이고~!

기업들이 위기관리 하는 방식을 옆에서 지켜보면 흥미로운 부분을 하나 자주 발견한다. 그들 전체에게 ‘이론과 실제는 틀리다’는 생각이 아주 뿌리깊이 심겨져 있는 것이다. 많은 예산을 들여서 훌륭한 위기관리 시스템을 구축한 회사도 실제 위기가 벌어지면 그냥 번개불에 콩을 볶아 먹듯 위기관리를 한다.

이미 시스템에 규정되어 있는 프로세스와 원칙들을 두어개씩 건너뛰면서, 시스템이 그렇게 하지 말라(Don’ts)했었던 ‘직관에만 의존’해서 전략적이지 못하게 커뮤니케이션을 지른다(!).

상황분석 없이 핵심 메시지를 만든다거나, 포지션을 정한다. 메시지 없이 그냥 애드립으로 여러 기자들과 커뮤니케이션하면서 해명을 바란다. CEO는 관심이 없는 상황에서 실무자들만 노심초사하고 전화통만 붙잡고 산다. 직접 이번 위기에 연관되어 오너십을 부여 받았었던 실무팀은 워크샵을 떠난다.

어떻게 위기가 관리되는 지 아무도 모른다. 예측이 불가능한거다. 시스템의 ‘시’자도 모르는 기업이면 당연하겠지만…어떻게 CEO부터 모든 실무팀들이 위기관리 시스템이라는 큰 한울타리안에 들어와 여러 구조를 함께 만들고, 워크샵과 트레이닝을 받고 서로에게 박수를 치던 그 분들이 막상 실전에서 이럴수가 있을까?

“이론은 실제와 달라. 시스템은 시스템이고 실제 움직이는 건 우리지.”


개그코너에서와 같이 “그건 네 생각이고~~~이론이나 원칙, 프로세스 그리고 시스템이라는 건 그네들의 생각일 뿐이고. 시스템구축은 없는 예산속에서 어쩔수 없이 해야 하는 거 였으니 했던 것 뿐이고.” 이거다.

바빠죽겠는데…그런 거 생각할 겨를도 없고. 그들에게 “그건 네 생각일 뿐”이다. 항상.

몇주전 아주 친한 모 그룹 홍보임원이 술자리에서 이런말을 했다.

“형님, 형님쪽(그룹 홍보실)에서 한번 전사적으로 위기관리 시스템 드라이브를 걸어보시는게 어때요. 전 계열사들을 대상으로 쭉…”

“야…야…뭐 필요가 있어. 우린 매일 매일이 위기야. 지금도 위기관리 하고 있는데 뭐…”

옆에서 같이 한잔 하던 모 외국계 홍보팀장이 이런말을 덧 붙인다.

“이 회사는 그런거 안해. 그냥 부딪히는 쪽이지…그런거 노인네들이 싫어 해”

누가 누구에게 말 하는 건지는 모르겠지만. 진짜.

“그건 네 생각이고~!!!!”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