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리부동

1월 252010 Tagged with , , , , , , , 2 Responses

오디언스들은 표리부동 때문에 실망한다

 

 

PR 학계나 업계에서 공통적으로 공감하고 있는 주제가 있다면기업이나 개인이나 평소 훌륭한 편판 또는 명성(reputation)을 보유하고 있다면 위기(Crisis)시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인사이트다.

따라서 명성관리(Reputation Management)란 위기관리(Crisis Management)와 뗄 수 없는 연관성을 지난다고 한다. 심지어는 명성관리가 곧 위기관리를 위한 하나의 보험이라는 주장도 있다. 평소 선행을 많이 해 놓아야 위기시에 그 덕을 본다는 뜻이다. [필자주: 선행으로만 명성이 구축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선행이 명성 구축을 위한 하나의 요소가 될 수는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기업들이나 유명인사들은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평소 선행을 통한 명성 구축에 힘쓴다. 즉각적이고 가시적으로 자신에게 도움이 될지는 아직 모르지만, 이렇게 하는 것이 맞는다는 것에 스스로 공감을 하기 때문이겠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평소의 선행 그리고 명성구축의 활동들이 실제 위기시 더 큰 부메랑이 되어 돌아오는 경우가 있다. 여러 케이스들을 보면 평소의 명성구축 활동이 해당 위기의 유형과 완전하게 배치되는 것일 때 가장 그 파괴력이 큰 듯 하다.

예를 들어

국세청 홍보대사를 하면서 정직하게 세금 내자는 캠페인을 하며 명성을 쌓은 연예인이 갑자기 탈세 용의자로 몰리는 경우 여성 폭력 방지 캠페인에 앞장 서던 연예인이 아내를 폭행해 문제를 빗는 경우 성매매 방지 운동을 나서 하던 연예인이 조직적 성매매와 연루 된 경우 청소년 유해 약물 방지 운동을 이끌던 유명인이 마약으로 적발되는 경우 제3세계 어린이 구호에 앞장 서던 유명인이 현지 어린이 성추행으로 문제가 되는 경우

이런 유형들에 대해 일부 사람들은평소에 쌓은 명성이 위기시에 더 족쇄가 되어 문제를 더 크게 만드는 게 아닐까?’하는 반론을 제기한다. 물론 일부는 공감한다.

하지만, 이런 유형들의 위기 케이스에서 핵심은 명성자체가 아니다. 평소의 명성구축과 관리 프로세스에 있어 진정성(authenticity)이 없었다는 것이 핵심이다. 그 부분이 비판 받아야 하고, 그 부분 때문에 많은 오디언스들은 배신감과 실망을 느끼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모든 기업이나 개인들은 실수 할 수 있다는 것을 많은 오디언스들은 인정한다는 부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누구든 실수할 수 있고, 그 실수를 인정하고 그 실수에 맞는 개선 의지와 활동을 보여주면 어느 정도 용서의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문제는 위기를 발생시킨 그 주체인 기업이나 개인이 표리부동 했었다는 부분, 그리고 그러한 표리부동에 대해서 심각하게 사과하고 뼈를 깎는 개선 의지를 보여주지 않는다는 부분이다.

위기관리란 아픔을 동반한다. 그 아픔을 위기관리 주체는 외부에서 온 것이라 잘 못 생각한다. 하지만, 그 아픔은 스스로가 생성시킨 것이고, 스스로 받아들여 해소해야 하는 대상이다. 아프지 않고 나을 수 있는
위기란 없다.

 

 

6월 082009 Tagged with , , , , 0 Responses

더도 덜도 말고 광고 처럼만…

PR이고, 고객만족이고, 마케팅이고 영업이고 심지어 HR이라도…

자신들이 집행 하고 있는 광고 처럼만 하면 얼마나 좋을까?

외부 자문을 얻거나 컨설팅을 받아서 더 나아지려 노력한다 말하기 전에

그냥 지금 하고 있는 광고를 한번씩 다시 모여 시청 해 보고 그대로만 하면 어떨까?

광고에서 사랑한다 말한 것 만큼만 진정으로 소비자들과 이해관계자들을 사랑해 보면 어떨까?

광고에서 웃고 있는 모델들의 얼굴 처럼만 깨끗하고 부드럽고 상냥하게 일을 하면 어떨까?

광고에서 세계 최고라고 외치는 그 이유처럼만 제대로 일을 하면 어떨까?

광고는 광고고, 실제 일은 일이라 생각하는 걸 그만 하면 어떨까?

어떻게 일하는 게 진짜 회사를 위한 것인지 깊은 생각 한번 어떨까?

표리가 부동하지 않기를…모두

– 집단적 자폐와 비지니스 매너 부족의 복합증세가 참 안타까움

4월 192008 Tagged with , , , , 0 Responses

겉과 속의 다름

표리부동(表裏不同)…
겉과속이 다름.

PR에서는 커뮤니케이션 메시지와 실체가 다름을 뜻 함. 이 표리부동으로 인해 PR인들이 ‘홍보쟁이’로 불림.

독일의 한 사이트에서 300개 인스턴트 식품들의 겉표지와 실체를 비교해서 올려놓았다. 이 비교 사진들을 보면서 자꾸 우리의 메시지들을 생각한다. 반성.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