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 시장은 이날 뉴욕 옵저버의 아지 패이바라 기자가 “뉴욕시 경제가 되살아나고 있다면, 시장의 3선 도전은 불필요한 일이 아니냐?”고 묻자, “오늘 회견 내용에 부합하는 질문을 하라”며, “당신은 매우 불명예스런 사람”이라고 모욕적인 언사를 비쳤다. 이날 패이바라 기자는 블룸버그 시장이 연설에서 “뉴욕시 부동산 시장이 다시 활성화되고 있고, 시내 각 식당과 소규모 스토어에 고객이 차츰 늘어나는 등, 시 경제가 되살아나고 있다”고 말 한 것에 대해 “그렇다면, 경제를 살리기 위해 3선에 도전해야 한다는 논리가 설득력을 잃지 않겠느냐”는 질문이었다.
블룸버그 시장은 대답할 가치가 없다고 일축했지만 뉴욕 옵서버의 편집장은 “우리 기자의 질문이 기자회견과 관련이 있는 적절한 질문이었다”며 “시장의 신경질적 반응에 대한 평가는 뉴욕시 유권자들의 몫이 될 것”이라고 뼈 있는 말을 했다. [
블룸버그는 뉴욕시장 이전에 유명한 언론사의 사주다. 뉴욕을 넘어 미국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들 중 하나다. 뉴욕시장이 되기 위해 평생 민주당이었던 가계 성향을 버리고 공화당으로 전향했다. 또 얼마전에는 공화당 당적도 버리고 무소속으로 뉴욕을 이끌고 있다.
미국대통령을 노리고 있다는 추측까지 불러 일으키는 이 블룸버그 시장이 최근 각종 언론 인터뷰에서 보인 문제점들이 회자되고 있다. 언론사 사주로서 정치로서 수없이 많은 인터뷰를 해보았고, 이 사람만큼 언론을 잘 아는 정치가도 없겠다.
칠순을 바라보는 연륜과 경험으로 공격적인 질문들을 유머와 논리로 잘 받아내곤 했었다. 하지만, 수천 수만번의 인터뷰와 기자회견을 잘 해내었어도 몇 번의 실수들과 역정들(!)이 기사화 되고 가십거리가 된다. 아무 유능한 언론사 사주로서의 지난친 자신감이나 권위의식이 아닌가 한다. 실제 기자회견 모습을 보면 기자들을 마치 작은 아들처럼 다룬다.
3선연장을 통한 재재선 도전을 눈앞에 두고 좀더 자신을 낮추고 철저하게 관리해야 하는 데 여기저기 노이즈를 내고 있다. (노무현 전대통령 서거에 대한 코멘트 무시 해프닝으로 뉴욕시내 한국교민 수십만의 표를 날렸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블룸버그의 역정에 대한 뉴욕 옵저버 편집장의 이야기가 정말 멋지다. 그가 한말이 실제 언론의 역할에 대한 것이기 때문이다.
[미디어트레이너인 TJ Walker도 비슷한 평가를 하고 있네요… 근데 TJ 자네는 왜 오늘 용모가 그모양인가? ]
[블룸버그의 다른 말싸움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