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집사람과 이야기를 하다가 ‘가족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다. 클라이언트사들에게 항상 위기 요소 진단(Crisis Vulnerability Audit or Crisis Factor Audit)을 먼저 하셔야 한다 코칭 한다. 그리고 실제 회사 내부에 들어가 진단작업을 실행 한다. 그러다가 과연 내 개인 그리고 나의 가족에 대한 위기 요소 진단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해 생각 해 보게 된 거다.
만약 우리 아이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한다면?
만약 부모인 우리가 __________________________한다면?
나의 남편이 또는 아내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한다면?
우리 부모님들이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하신다면?
우리 가족의 경제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한다면?
이런 가족과 관련된 위기 요소 진단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래야 그 각각에 대한 대비책이라던가 완화책을 강구하고, 실제 위기가 발생했을 때 적절한 대응과 조치가 가능하지 않을까.
TV 드라마를 보면 자식이 어떤 일을 저지르고 들어오면 부모들은 두 가지로 나뉜다. 자식을 때리면서 현실을 부정하거나, 뒷목을 부여잡고 현실을 잊으려 하는 행태. 기다렸다는 듯이 적절한 커뮤니케이션이나 대응방식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좀 더 현실과 가깝다.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다가…세부적으로 ‘What If?’들을 생각하게 되니 괴로워진다. 멀쩡한 우리 아이가 _______________한다면? 멀쩡한 우리 부부가 __________________한다면? 그런 우울한 상상을 하는 것에 기분이 좋지 않아진다. 상상하기 조차 싫은 생각들도 있다. 괜히 심란해 진다.
기업들도 그렇겠다. 우리 회사에 대해 나쁜 생각은 하기 싫을 게 당연하다. 괜히 찜찜하고, 불행해 보이는 게 당연하다. 그래서 위기 요소 진단은 어렵다.
실제 지금 클라이언트사 중 하나도 위기 요소 진단에 오랜 시간을 투자하고 있는데 진전이 없다. 다른 클라이언트들의 경우 한두 달에 완전하게 해 치운 그 업무를 수개월째 끌고 있다. 그 클라이언트의 마음이 바로 이 마음 같지 않을까 생각해 보니 공감이 된다.
그래도…
미리 가정해서 생각해 보는 게 나를 위해서나 우리를 위해 낫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Communications as Ikor에서 더 알아보기
구독을 신청하면 최신 게시물을 이메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