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광우병 파동 이래 현직 국방부 장관만큼 국회의원들의 질의 응답에 호되게 당한 장관이 없을 거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전부처 장차관들을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트레이닝을 실시하고 있다.
1099657620.hwp[참고: 문화체육관광부 카메라 적응 교육 공고서]
작년에는 이미지컨설팅을 중심으로 발성법, 이미지 코디 등등을 장관들에게 강의했다고 하는데…이전에도
한번 포스팅 했던 것과 같이 그런 타입의 강의는 정확한 의미로서의 미디어트레이닝은 아니다. [관련 포스팅: 이벤트는 그만하자]
올해는 그나마 한발자국 더 나아간 느낌이 있다. ‘카메라 적응 교육’으로 이름 붙인 것은 약간 이상하지만, 아무튼 작년에 비해 좀 더 실속 있는 전략 커뮤니케이션 트레이닝이 되리라 기대해 본다.
이번 국방부 장관의 답변을 통해 몇 가지 Don’ts 사례들을 꼽아 본다. 미디어트레이닝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Don’ts로 트레이닝을 하게 되어 있는데…작년에 일정 수준 이상의 미디어트레이닝을 받았다면 국방부 장관께서 그나마 질문자들의 트랩을 발견하고 적절하게 피해 가실 수 있으셨을 거라 생각해서다. (제대로 된 미디어 트레이닝이 이래서
중요하다)
[Don’ts] 필요 없이 자세하거나, 불필요한 부연 설명 말라
19일 보도
이어 한나라당 김무성 의원은 김 장관의 일관되지 않은 설명에 언성을 높였다. 김 의원은 “장관이 필요없는
말을 해서 자꾸 추가 질문이 나오게 한다“며 “청와대에도 보고를 한 사람이 직속상관인 장관이 어려워 보고를 못했다는 게 말이 되느냐. 당장 답변을 취소하라“고 요구했다. [동아일보]
[Don’ts] 핵심 메시지 반복에 있어 실패 하지 말라, 포지션 일관성 유지 실패 말라
지난 14일 보도
김 의원은 “자위권이라는 것은 우리가 공격당하고 있는 상황이라면 모를까, (북한의) 도발이라고 하더라도 이미 끝난 상황에서 (군사적 조치는) 도발이 될 수도 있다”며 “UN을 통해 제재를 강화하는 것은 가능하겠지만 똑같이 군사적 조치를 할 수 있는건 아니지 않느냐”고 재차 문제를 제기했다. 결국 김 장관은 “그럼 제가 그 부분을 취소하겠다”면서 “정부가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강구할 모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발언의 수위를 낮췄다. [조선일보]
[Don’ts] 단언 하지 말라. 개런티(Guarantee) 하지 말라
지난 8일 보도
김태영 국방부 장관은 8일 천안함 침몰사고와 관련해 “제가 모든 책임을 지겠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안보 및 경제분야 대정부질문에 출석, 사고 원인을 둘러싼 각종 의혹과 사고 당시의 천안함 항로를 둘러싼 의혹, 구조작업 과정의 혼선 등에 대한 책임을 묻는 민주당 신학용 의원의 질문에 이같이 답변했다. [연합뉴스]
[Don’ts] A or B 선택하지 말라, Yes or No로 대답하지 말라
지난 7일 보도
김 장관은 또 “국회에서 묻는다고 부화뇌동해서 ‘기뢰다’, ‘어뢰다’라고 답변해도 되냐”는 지적에 “말을 하다 보니 기뢰나 어뢰로 좁혀져서 마치 그것처럼 돼서 다시 해명했다”고 답했다. [머니투데이]
매우 기초적인 실수다. 당사자나 해당 부처에서는 여러 가지 해석이나 문맥, 맥락을 보고 판단해야 할 일이다 할 수는 있지만…이런 기초적 Don’ts 관련 실수를 해 기사들을 만드는 것은 분명 스스로에게도 부담 아닌가? 또 그만큼 국민들에게도 부담이다.
아무리 말을 전략적으로 해도 기사에서 잘 못 다루어 지면 큰일이다. 만약 말 실수를 해서 기사가 더욱 더 부정적으로 해석되면 그건 더욱 더 큰 문제다.
나라와 국민을 위해서라도 진짜 실제적이고 전략적인 커뮤니케이션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Communications as Ikor에서 더 알아보기
구독을 신청하면 최신 게시물을 이메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
4 Responses to 보다 실제적이고 전략적인 트레이닝이 필요하다 :정부 장차관 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