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152007 0 Responses

진정한 PR 카운셀러論 (2001) 수정 | 삭제

진정한 PR 카운셀러論 (2001)
수정 | 삭제

우리PR이라는직업에는많은매력들이있습니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그중에서가장매력적인하나가카운셀링업무라고봅니다. 이와비슷하게사용되는컨설팅이라는의미는카운셀링보다는좀더크고체계적인프로세스를동반한다는점에서약간의구별이있을있습니다.

 

그러나카운셀링과컨설팅은업무상많은공통점을가지고있습니다.

 

일단담당자의사고가분석적이고전략적이어야한다는것입니다. 또한항상담당자는많이읽고듣고쓰고말하고배워야한다는것이공통점이랍니다.

 

한마디로상당히고달픈일입니다. 단순히“짠밥으로만해결되는아닌것도사실입니다.

 

카운셀링은개인의의미가강합니다. 반면에컨설팅은팀과같은집단의노력입니다. 이런의미에서팀웍이발달된컨설팅갖는것은PR 컨설팅을제공하는에이젼시에게있어서가장중요한관건입니다.

 

언제쯤“PR컨설팅의조직서비스경영대하여글을한번올리겠습니다. 그냥오늘은카운셀링대하여만짧게이야기를올릴까합니다.

 

아래의글은PR 특히미디어관계의명서로알려진“On Deadline: Managing Media Relations”지은Carole M. Howard씨가작년PRSA발행물에썻던글입니다.

 

진정한조직의발전을위한PR인의자세는전략적이고비전제시적인카운셀러가되는이라는요지의글에서진한감동을받았습니다.

 

구조조정의한파곳에서현재의위치에불안해하고있는많은직장인들이있습니다. 일정부분이홍보인력이라는것도무시할없는현실입니다.

 

조직에서자신이인정받고우리팀이인정받는방법에는물론여러가지가있을있습니다. 우리PR인들에게가장긍정적인방향은우리모두가진정한카운셀러되는것이라고봅니다.

 

카운셀러는누구나될수는있습니다. 그러나성공적이며인정받는카운셀러는얼마없습니다. 그것을위해서는끊임없는개인적노력과여러방면에대한엄청난투자가필요하기때문입니다.

 

CEO귀에다속삭이는PR인들은많습니다. 그러나어려울PR 담당자의귀에다해결책을찾아달라고속삭이는CEO들은그리많지않은것같습니다. 왜일까요

 

아래에는멋진PR 카운셀러가되기위해해야하는몇가지의주요실천사항들이언급되어있습니다. 읽어보니한숨이나옵니다. 참으로어려운일이구나하는한숨입니다.

 

그렇지만아직도PR카운셀링은우리에게매력적인업무분야입니다.

젊은시절에는실무에단련되야하고연륜이깊어감에따라카운셀러로서의가치가빛나야한다고봅니다.

 

또한어려운일입니다. 연륜과경력이좋은카운셀러의필수조건은아니기때문입니다. 많은연륜가들중에서도전략적인사고와분석적인틀의운용에있어서불완전하고부족함을보여주시는분들이계시다는사실은이를증명해줍니다.

 

좋은카운셀러의자질은빠르고정확한분석력그리고강력한전략적사고에대한고집이라고생각합니다. 그리고이러한자질은업무에있어서처음부터오래도록단련되어져야합니다. 올바른분석력과전략적사고의트레이닝이계속적으로되지않은실무자들은절대성공적인카운셀러없습니다.

 

물론동물적감각기반으로하는몇몇천재가명성을얻을수는있겠지만체계적인카운셀러의성장단계는항상존중되어지고끊임없이엄수되어져야한다고봅니다.

 

우리홍사모의PR식구들은모두훌륭한PR 카운셀러가되기위해노력했으면합니다. 앞으로1020년이지나서지금의20-30홍사모식구들이30-40중후반의노련한실무자들로남아있게된다면그들모두가함께PR 카운셀러그룹을형성했으면합니다.

 

내부로는후배들을엄격하게훈련시키고키우며외부로는올바르게인정받는훌륭한PR 카운셀러들이되었으면합니다.

 

아래에훌륭한PR 카운셀러가되는방법이자세히나와있습니다. 지금부터라도같이노력했으면좋겠다는생각에서올립니다.

 

홍보!

 

 

Skills You Need To Expand Your Counselor Role

 

By Carole M. Howard, APR

 

When I was recently updating the third edition of “On Deadline: Managing Media Relations,” I asked 20 senior PR corporate officers, agency heads and academics the question, “What are the most valuable skills for a PR professional to develop in order to become an effective counselor to management?”

 

Some mentioned listening skills. Several mentioned the confidence and courage to speak the truth. Many mentioned strong communications skills. Yet every single one of them said the most essential qualification of all is a thorough knowledge of your organization”s business.

 

Top executives and other decision-makers will find it difficult to take advice from anyone who does not hav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business. It”s essential that you constantly update your knowledge of the organization you represent, its strategy, its position in the marketplace, its growth and expansion plans.

 

Read business and marketing plans. Good ones include descriptions of an organization”s customer base, the competitive climate, the regulatory and legislative environment, an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its products or services. Ask marketing people to take you on customer calls. Join industry associations. Attend trade shows.

 

Recognizing emerging issues is another key role of a PR counselor. Much like products, public issues also have life cycles. Your goal should be to identify new issues early enough so that your organizations can shape and manage them rather than merely respond.

 

If an issue has the potential to affect your organization, it is your job to understand that issue and share your knowledge with the decision-makers of your organization. PR counseling, though, goes beyond sharing information. You should also help management develop positions on emerging issues, and manage the business to avoid negative situations while capitalizing on opportunities.

 

Though PR professionals generally are well-informed, you can increase your chances of recognizing important issues early by paying careful attention to all media, traditional and new, not just those which cover your businesses and industries regularly:

 

1. Read a wide variety of media not only business and trade press but also “alternative” press and publications devoted to subjects and ideologies outside the scope of your industry. Do key word searches on the Internet and visit opinion-leading Web sites.

 

2. Read editorials and be alert to new subjects and shifts in the opinions of thought-leaders.

 

3. Monitor letters-to-the-editor sections in newspapers and magazines, especially in the more prestigious publications, as well as newsgroups, chat rooms, user groups and forums on the Internet. Important new issues or changes in viewpoints on old ones often get their first public exposure in these arenas.

 

4. Pay attention to better-quality TV and radio talk shows and interview programs for good sources on issues.

 

5. Maintain informal contacts with key media people. Seek their opinions.

 

6. Build internal alliances and a strong informal network of sources in your organization. They can alert you to developing trends within your industry and markets, and changes that need to be made.

 

7. Then demonstrate this knowledge for decision-makers by connecting it to the advice you give. When you make a presentation to management or the board of directors on how to handle an issue, support your plan and evaluation with facts opinion poll or research results, news media reports, speech excerpts from opinion leaders. And always include your operations colleagues” evaluation of its relevance to the business.

 

Positioning

 

But knowledge is only part of the equation. As a counselor, you need to be part of the decision- making process in your organization. You must:

 

1. Have constant access to the CEO and other key executives.

 

2. Have “a seat at the management table” when debate is under way and decisions are being made.

 

3. Help management consider the long-term strategic and “image” implications of your company”s response to an issue.

 

4. Ensure that your company”s policy-formation process gets the benefit of a broad perspective and variety of opinion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organization.

 

5. Be part of the strategic planning team for your

organization”s business activities.

 

6. Have PR functions included in your organization”s business and marketing plans.

 

If you are being called in only after decisions are made, you are not practicing PR counseling.

 

Being an effective counselo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demanding aspects of the PR job. Your role changes. Your responsibilities expand. As a stained-glass window diffuses light that passes through it, enhancing the light by the addition of a myriad of beautiful colors, you will be contributing to your organization”s policies and helping to shape its future.

 

Think of yourself as an ombudsman. In addition to being the eyes and ears of your organization, you sometimes have to be the conscience as well. More and more you will find yourself focusing on communications strategy, being a champion and agent of constructive change, and giving advice: on issues as complex as your CEO”s responsibilities, as broad as your organization”s business, as fundamental as its culture and values.

 

Such breadth means that you must hav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your organization”s business strategy and marketing plans, internal challenges and future opportunities, customers and competitors. You must learn to think strategically. Indeed you must regard yourselves as general managers, not just as PR professionals. You need to become, as management consultant Harry Levinson puts it, “organizational radar, taking soundings and helping to steer rather than expecting to be piloted.”

 

Counseling is much more than offering advice. It acts as a strategic glue, bringing together input from all available external and internal sources.

 

Effective counseling selectively sorts information, while focusing only on events that are important and contribute to understanding. A good counselor will relate and interpret the facts; a great one will understand and enhance the meaning.

 

Almost all the critical problems facing organizations today are PR problems in the broadest sense of the term. But the cosmetic touches of a publicity program cannot obscure deeper blemishes in organizational policy or practice for very long. You need to help your top management look at each problem strategically, searching for well-thought-out actions that contribute to permanent resolution. You must reflect shareowner sentiment, customer concerns and employee expectations, for you represent those voices within your organizations just as you are the organization”s ears and eyes in the community and marketplace.

 

When you do the counseling job well, you can become catalysts for change and make significant long-term contributions to your organization”s success.

 

Carole M. Howard, APR, is an author and frequent speaker on communications and global marketing. She is the retired worldwide VP of PR for The Reader”s Digest Association Inc.

 

E- mail: tailwinds1@aol.com

by 우마미 | 2006/12/05 13:10 | 옛글들(2001) | 트랙백 | 덧글(0)
11월 152007 0 Responses

한국 PR업계의 순수성 확보 및 자정활동에 대하여… (2000) 수정 | 삭제

한국 PR업계의 순수성 확보 및 자정활동에 대하여… (2000)
수정 | 삭제

한국 PR업계의 순수성 확보 및 자정활동에 대하여…  <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근래 IT관련 모 신문이 홍보대행업계에 대한 많은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기사들을 쓰시는 걸 봅니다. 해외의 사례도 곁들여 다양한 시각을 IT홍보 분야에 투영을 하시더군요.

 

PR계에서 경력이 많으신 실무자분들을 만나보면 거의 공통적으로 많이 하시는 말씀이 “PR 플러스 알파”론 입니다. PR은 학교에서 강의 되는 PR이 있고, 밥을 먹기 위해서 하는 PR이 있답니다. 참고로 “밥을 먹는 다 또는 번다”하는 것은 절대 나쁜 의미가 아닙니다. 어떻게 보면 요즘 같은 세상에 성스러운 이야기일 수 있습니다.

 

아시는 분들은 아시다시피 PR로 (많은) 돈을 벌 수는 없습니다. (특히 우리나라 같은 상황에서는 더더욱 그렇습니다.) 우리나라 PR대행사들의 주 업무가 무엇입니까. 모니터링과 보도자료 작성 배포 그리고 언론관계 일반 아니겠습니까. 돈이 나오는 분야는 손바닥처럼 뻔합니다. 순전히 사람이 해야 하는 “노동집약적”인 활동들이 대부분입니다. 미국에 누군가가 광고는 “자본 집약적인 활동”이고 PR은 “노동 집약적인 활동”이라는 말을 했습니다. 부분적으로는 맞습니다.

 

이는 단순히 왠만해서는 돈, 아니 밥벌이가 쉽지 않다는 이야기 일 수 있을 겁니다. 이러한 노동 집약적인 업무환경에서 벗어나 좀더 부가가치가 높은 업무를 추구하려는 것이 바로 “PR 플러스 알파론”을 기반으로 하는 요즘의 움직임 같습니다. 이런 의미에서 IMC나 MPR과 같은 노력들을 볼 수도 있겠지요.

 

모 매체가 지적한 것과 같이 우리나라 PR업계에는 근래들어 벤쳐 관련 붐과 함께 각종 퓨젼(fusion) 서비스들이 업계에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인큐베이팅, 펀딩, 경영컨설팅, IR등등을 갖가지 형태로 결합한 customized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서비스 방향에 대하여 기존의 PR업계가 왈가왈부 할 수는 없다고 봅니다. 순수한 PR활동도 좋지만, 고객사가 만족해 하고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알맞게 제공할 수 있다면 이는 서비스 시장에서 평가 받아야 할 주제라고 봅니다.

 

시장에서의 평가는 서비스의 질로…

 

해외의 경우에도 실리콘 밸리 쪽에는 이미 90년대 초 중반부터 IT관련 홍보대행사들이 우후죽순처럼 생겨 났었습니다. 그 당시에는 솔직히 인터넷이 화두가 되기는 했지만 인터넷으로 본격적인 비즈니스를 한다는 것이 약간은 감이 오지 않는 시기였기 때문에 인터넷 관련 업종을 홍보한다는 것이 거의 마케팅적인 활동이 대부분이었다고 봅니다. (초기 마케팅 중심의 단계)

 

시간이 흐르며 진정한 의미의 PR을 실행하는 일정규모 이상의 업체들이 생겨나고 전략적 경영방침과 해당회사의 Mission을 성취하기 위한 다양한 Corporate Communication활동이 계속되면서 어느 정도 시장 및 업무 질서를 되찾은 현재의 미국의 IT전문 대행사들은 서비스의 질적인 투자와 관심을 계속하고 있다고 합니다. 물론 그 이전에도 그들의 생존비결은 서비스의 높은 수준에 있을 것이라 봅니다.

 

이같이 우리나라도 문제의 핵심은 시장상황이나 개개 회사의 서비스 형태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해당 에이젼시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에 있습니다. 이는 또한 우리 PR업계에 장기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업계신뢰도 문제와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더 중요합니다. (일반적인 클라이언트들은 PR대행사와 마케팅 에이젼시를 구분할 수 없습니다. 더구나 국내에서 PR 대행업종에 대한 Identity가 확실하지 않은 상태에서 갖가지 fusion 서비스들이 등장하는 것도 클라이언트들에게는 혼란일 수 있습니다. )

 

부끄러운 이야기이지만 “순수한 PR”서비스로 분류된다는 “언론관계” 서비스만을 열심히 제공하고 있는 기존의 홍보대행사들도 “언론관계”의 질에 대한 비판이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 미디어 리스트를 작성하면서 기자들을 괴롭히는 행위, 전화응대에 무례한 행위, 최소한의 정보관련 윤리가 부실한 현실, 기본 직무 교육의 부실 등은 종종 여러 기자들에게 자존심 상하도록 반복적으로 지적받는 업계의 문제들입니다.

 

국내 “언론관계” 서비스의 역사를 약 14-5년으로 보았을 때 이러한 장기간의 시간도 일정한 높은 수준의 서비스 질을 보장하지 못하는 국내 현실에서, 각종 인큐베이팅, 펀딩 및 IR또는 컨설팅을 전문적으로 한다는 에이젼시들의 서비스질은 상상하는 그 대로 일 것입니다.

 

홍보대행사의 경쟁자는 컨설팅 펌…

 

세계적인 홍보대행사 켓쳠의 드로비스 사장이 작년 PR firm협회에서 “PR대행사의 직접적인 경쟁업종은 경영 컨설팅업이다”라는 말씀을 하셨을 때, 많은 국내 PR인들은 이 얘기에 어리둥절 했을 찌도 모릅니다. 해외의 상황을 곧 우리나라에 적용하는 것에 거부감을 느끼시는 몇 분들은 넌센스라는 이야기도 하시더군요.

 

그러나 우리나라 업계는 각종 경영관련 컨설팅을 가미한 PR서비스들이 이미 등장하였고 활발하게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드로비스 사장의 혜안은 우리나라 퓨젼 서비스 업체 경영진들에게도 큰 교훈이 될 것입니다.

 

드로비스 사장이 역설한 것 중의 핵심들은 현재 활동중인 경쟁사들 즉 대형 경영 컨설팅사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PR 대행사의 “질 높은 인력의 확보, 내부적인 질적 교육노력, 서비스의 질 확보를 위한 과학적인 내부 경영 기술등에 대한 노력”이었다고 기억합니다.

 

국내 퓨젼 서비스 업체들의 상황에 대하여서는 잘 알지 못합니다. 현재 이름을 날리고 있는 모모 컨설팅에 대한 이야기는 들은 적이 있을 뿐입니다. 그러나 그 firm에 대한 제 3자의 언급에서 약간 서글픈 것은 “요즘 잘 나가서 돈을 잘 번다”하는 내용이 주요 핵심이라는 것 이었습니다.

 

어떤 서비스를 어떻게 질 높게 제공하고 있고 고객들의 반응은 어떻다라는 이야기는 별로 들리지 않습니다. 일찍이 올해 초부터 저는 개인적으로 이 케이스 스터디란에서 “내부역량(질적인 성장)을 배경으로 한 홍보시장 확장은 환영하지만, 외부역량(순간적인 업종 붐)에 의한 홍보시장 확장은 경계해야 한다”는 논지로 글을 쓴 적이 있습니다. 고품질을 기반으로 하지 않는 시장 확장 및 성장은 파멸의 지름길이라고 봅니다. 주요 경영 컨설팅 펌들에 대한 시스템 벤치 마킹은 이래서 필요하다고 봅니다.

 

저품질 서비스에 대한 업계신뢰도 하락 경계

 

업계의 시각으로 볼때는 “저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에이젼시들이 많으면 많을수록 홍보업계에 대한 “신뢰도” 위기가 온다는 사실을 우려해야 합니다. PR에 있어서 기본적인 윤리성을 논하는 것은 현상황에서 너무 기본적인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정 XX” “진 XX”으로 대표되는 비윤리적 사이비 벤쳐 경영이 가능했던 것도 시대적인 조류에 야합한 몇몇 PR인들의 협조가 없이는 거의 불가능 했으리라는 생각도 해봅니다.

 

현재 퓨젼 서비스 에이젼시들에 대한 이슈는 “PR의 순수성 확보”의 차원으로서가 아니라 “시장윤리”에 대한 이슈가 그 잣대가 되어야 하리라 믿습니다. 여타 경영컨설팅 업체들 보다 낮은 연봉과 미진한 정보관리 시스템, 부실한 조사연구 체계, 내부 고급 인력의 부족, 선진적인 에이젼시 매니지먼트에 무지한 경영층이 혹시나 존재한다면, 퓨젼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윤리성”은 그야말로 검증 받아야 한다고 봅니다.

 

가슴 아픈 이야기이지만 그들에게는 “떡이 크면 콩고물도 크다”는 견물생심적인 시장진입은 자신에게도 위험하고 업계자체에도 해가 된다는 것이 교훈이 될 것입니다.

 

PR의 순수성을 논하면서 까지 퓨젼화하는 몇몇 에이젼시들을 신경써야 하는 기존의 PR에이젼시들이나, 차별화와 Customize를 외치면서 돛은 달았으나 멀리 나아갈 힘이 없어 보이는 몇몇 퓨젼 에이젼시가 모두 찹잡함을 가져다 주고있습니다.

 

“품질 확보”라는 우리나라 PR업계의 절대절명의 숙제가 퓨젼 서비스 에이젼시의 몫이기도 하다는 것은 “우리가 함께” 깨달아야 합니다. 저품질의 서비스 확장은 반대합니다. 그리고 저품질의 기존영역 고수 또한 혐오합니다. “순수냐? Fusion이냐?”가 이슈가 아니라 품질이 이슈가 되는 우리 PR 업계가 되길 바랍니다.

 

고품질 고객만족 홍보는 절대 善입니다. 홍보!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홍사모 가족 여러분 ^

by 우마미 | 2006/12/03 18:44 | 옛글들(2000) | 트랙백 | 덧글(0)
11월 152007 0 Responses

MPR과 IMC의 PR에 대한 침공 (2000) 수정 | 삭제

MPR과 IMC의 PR에 대한 침공 (2000)
수정 | 삭제

MPR과 IMC의 PR에 대한 침공 <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근래들어 MPR에 관한 이야기가 자주 회자되고, 최근에는 MPR (Marketing PR) 또는 IMC(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에 관한 책들이 몇몇 나오고 있습니다. PR에 관해서 이렇게 다양한 방법론을 논하는 요즘 세상의 관심이 참 흥미롭습니다.

 

지난 한달간 바로 어제까지 몇 개의 MPR과 IMC관련 국내 서적을 찬찬히 읽어 보았습니다. 동일한 저자들이 함께 저술하신 최근의 책까지 두권의 책을 포함해서입니다.

 

근래들어 MPR의 번영과 더불어 세계적으로 PR인들 사이에 이슈가 되어가고 있는 것이 “PR의 정체성(Identity)”에 대한 이슈 입니다. “PR이란 무엇이고, PR을 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왜 PR을 하는가..”에 대한 의문이 점점 깊어가고, 많은 실무자들도 혼동을 느끼고 있다는 점은 문제입니다. 모 광고에서 처럼 머리위를 쓰다듬으며 그냥 “나도 몰러~”하면 끝나는 문제가 아님은 의식있는 PR인들을 찹잡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근간의 MPR관련 서적을 접하면서 느낀 점들을 그냥 몇 가지 말해볼까 합니다. 저자분들께 대한 어떤 감정이나 편견이 있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그냥 한 PR인의 정체성에 대한 한탄이라고만 생각해주시면 좋겠습니다.

 

1. MPR과 IMC에 관한 책들의 내용이 좀더 PR적이었으면 합니다.

 

절대적으로 PR에 관한 내용이나 깊이가 부족합니다. Fair한 지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MPR이나 IMC에 대하여서는 지적인 접근을 실행하는 경향이 있는데, PR에는 그렇지가 않은 것 같습니다. 현실에서 일어나고 있는 약간은 편협한 실무환경을 “그냥 PR”이라고 간주하고 MPR로의 단순 흡수를 논하는 것은 Fair하지 않다고 봅니다.

 

대부분의 책에서의 설명을 광고, IMC, 데이터 마케팅등에 할애 하고 있으며, PR에 대한 정의나 다양한 시각도 굳이 광고인들의 시각들을 통해 투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2. PR에 대한 올바른 정의와 근본적 Identity를 인정하셨으면 합니다.

 

Goodwill을 형성하는 것이나 P할것은 피하고 R릴것은 알린다는 등의정의의 목적이 무엇이냐는 자문에 “솔직한 답은 “궁극적으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더 많이 팔기 위해서” 일 것입니다. 결국, 마케팅 수단이라는 것입니다.”라는 표현을 쓰신 저자 분이 계십니다. 이는 PR에 대한 상당한 모독이라고 봅니다.

 

종종 PR을 두 인간의 사랑으로 비유하곤 합니다.

 

결혼을 두 인간이 사랑해서 최종으로 이르는 최상의 가치라고 하면, 곧 Goodwill은 결혼일 것입니다. (맛이 없건 있건 매일) 아내의 밥을 먹고, 생일과 기념일을 챙겨주고, 이야기를 들어주고, 사랑한다고 고백을 하며 안고 볼에 키스를 해주는 이러한 아름다운 모습이 PR이 목적하는 기업(조직)과 공중 개인과의 관계형성(Goodwill형성)이라고 믿습니다.

 

PR은 해당 공중과의 Goodwill을 형성하기 위해서 실행된다고 볼 때, 그것이 궁극적으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더 많이 팔기 위해서라고 해석 된다면, 이는 인간 발달 단계에서 결혼보다는 성(sex)적관심이 더 많은 아직 덜 성숙된 청소년기의 모습과 흡사하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공중과의 관계가 어찌 서비스나 상품의 판매에만 연연한 것이 되겠습니까. 서로가 관계를 호의적으로 같게 되면 해당 서비스나 상품은 당연히 사용하게 됩니다 (두 남녀도 마찬가지지요). 그러나 한번도 그 서비스나 상품을 사용하지 않았어도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는 공중이 존재 할 수 있다는 것은 꼭 PR이 판매만을 목적으로 하는 활동이 아니라는 걸 이야기 해줍니다.

 

제 친구 중에도 특별한 두 친구가 있습니다. 둘 다 저와 학교를 오랫동안 같이 다녀서 요즘 같은 도시 생활에서 현대적 의미의 “죽마고우”라고 볼 수 있답니다. 그 중 친구 A는 말이 없고 무뚝뚝해도 항상 웃는 얼굴이고 무엇이든 이해한다는 표정을 가진 녀석입니다. 가끔씩 그 녀석이 하는 가게에 가서 무얼 사면 고맙다는 표정만 있을 뿐 그냥 웃는 얼굴 그 모습입니다.

 

또 한 녀석 B라는 녀석은 자주 전화도 하고 생일도 챙겨 주는 꼼꼼한 녀석입니다. 누구한테도 인기가 많고, 참 치밀하게 삶을 사는 능력 있는 녀석입니다. 그러나 그 녀석을 만나면 항상 무언가 느껴지는 이해손실적인 감정을 깔고 있다는 생각이듭니다. 친구를 사귐에 있어서 그 상대 존재가 마냥 좋은 것이 아니라 상대가 나에게 언제든 소용이 있다는 식으로 친구들을 확장해 나가는 것 같아 보입니다.

 

왠지 저는 솔직히 A라는 친구가 더 맘에 있습니다. 신뢰가 갑니다. 물건을 사고도 마음이 편합니다. B라는 친구는 항상 여러가지 Offer를 해오지만 그냥 그렇게 머뭇거리고는 합니다. 두 친구가 저에게는 다 좋은 친구들이지만, 우정에 대한 접근 방식이 조금은 다릅니다.

 

직업병처럼 모든 삶의 모습을 PR에 빗대어 생각하는 나쁜 버릇을 가진 저에게, MPR은 제 친구 B의 모습으로 다가 옵니다.

 

절대로 PR에는 판매이외의 목적 그 무언가가 있습니다. PR을 깊게 공부하고 그것을 철학으로 받아 들일 때 이러한 목적관은 더욱 뚜렷해지리라 믿습니다.

 

3. PR = Marketing인가?

 

만약 PR이 마케팅이라면 (아무리 IMC적인 관점이라고 하지만) 기독교가 곧 불교인 모습과 마찬가지입니다. 무슨 뚱딴지 같은 소리냐 하시겠지만, 종교라는 큰 카테고리안에 들어있고 둘다 “인간의 생을 윤택하게 하기 위한 인간의 믿음과 노력”이라는 공통점이 있기 때문에, 다 같은 것이라는 주장을 할 수 있는 거지요.

 

단순하고 약간은 억지 같은 이 비유가 더욱 우리 PR인을 슬프게 합니다. PR의 더 큰 부분을 많은 사람들에게 인지시켜주지 못한 우리의 잘못이 PR내에 마케팅적인 시각 및 비중을 극대화 시킨 근본적 문제점이라고 봅니다.

 

PR은 PR이고 마케팅은 마케팅이라는 믿음은 변함없습니다. 단지 마케팅적 목적달성을 위해 PR적 tool을 사용할 수 있고, PR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마케팅적인 tool을 사용 할 수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렇다고 그 둘의 정체성이 혼합되거나 유사시 되어서는 안된다고 봅니다.

 

4. CPR, MPR, IMC, ICC, 그리고 IC

 

근간 MPR관련 서적에서 흔히 눈에 띠는 것이 CPR, MPR, IMC, ICC 등의 단어입니다.

 

PR을 CPR과 MPR로 나눈다는 것 자체에는 약간의 무리가 있다는 생각입니다. PR이라는 우산속에서는 모든 것이 PR일 뿐입니다. 그 것이 하부 종류로 칼 자르듯이 Corporation PR, Marketing PR이라고 나뉘는 것은 부자연스럽습니다. 엄격하게 말하면 일반적인 MPR이라는 것은 Marketing분야의 소유입니다. IMC야 말로 PR은 아닙니다. 마케팅의 분야이지요. ICC (Integrated Corporation Communication)이라는 말은 흔한 용어는 아니지만, 그 취지가 이해는 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ICC와 IMC의 구분을 둔다는 것 자체가 또한 IMC가 PR이라는 의미이어서 약간은 부자연스럽습니다.

 

가장 대체적이고 포괄적인 의미이자, 발전적인 개념은 IC(Integrated Communications)라고 봅니다. 지난 1월 저의 100번째 글에도 말씀드렸었지만, IMC가 지배하고 있는 PR의 마케팅적 전적 사용을 거부할 수 있는 커다란 개념적 대안입니다. PR을 하나의 IC적 우산 속에서 정체화하고 그 옆의 마케팅과 쌍방적 교류를 할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PR에도 전략성이 있고, 뚜렸한 목표 공중의식과 분석이 있으며, 과학적인 환류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는 것을 마케터분들은 이해해 주셨으면 합니다. 그리고 PR의 Publicity적 개념은 Tool이 본체를 집어 삼킨 특수한 상황적 개념이지 PR자체가 아니라는 것도 이해하셨으면 합니다.

 

5. 그런의미에서 근간의 MPR과 IMC서적들은 Marketer들에게는 좋은 교과서가 될찌 몰라도 PR인들에게는 별반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PR을 보는 시각을 혼동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사회생활을 가장 처음 무엇으로 시작하는가 하는 것이 상당히 한 개인의 사고의 틀을 제한하는 것 같습니다. 처음부터 난을 키우던 사람이 분재를 가꾸는 방법도 잘 알 것이라 생각들 하는데 이는 맞지 않습니다. 별도로 분재공부를 하는 난 애호가라도 분재만을 아는 사람보다는 분재에 대한 깊이가 없을 수 밖에 없습니다. 좀더 폭 넓은 시각이라는 것은 자신의 것 이외에도 다른 것들을 확실히 섭렵하여 그 장단점을 정확히 볼 수 있을 때에 가능하리라는 게 제 생각입니다. 이게 참 어렵지요.

 

근간 MPR과 IMC관련 서적을 지으신 분들은 대부분 광고쪽을 많이 하신 분들이었습니다. 최초 그 분들께서 가지셨던 광고적 마인드와 마케팅적 베이스가 그냥 그대로 PR에 투영되었다는 사실이 약간 안타깝습니다. 또 반대로 생각하면 PR을 제대로 하신 다른 많은 분들은 왜 진정한 PR적 관점을 투영한 책들을 만드시지 않나 하는 의문도 듭니다.

 

항상 Marketing은 Marketer가 PR은 PR person이 논하고 실행해야 한다는 게 저의 생각입니다.

 

아마 “이미지가 실체”라는 말이 있을 겁니다. 그렇다면 밖으로 보여지는 우리 PR의 이미지가 바로 우리가 하는 PR의 실체인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나니…힘이 빠집니다. 좀더 힘있는 PR을 고집하시고 주장하시는 분들이 많이 나와주시기를 바랍니다.

 

앞으로도 MPR과 IMC의 PR정체성에 대한 위협에는 단호한 입장을 견지하고 싶습니다. 홍보 그리고 PR만을 사랑합니다

by 우마미 | 2006/12/03 18:43 | 옛글들(2000) | 트랙백 | 덧글(0)
11월 152007 4 Responses

MPR과 IMC의 PR에 대한 침공 (2000) 수정 | 삭제

MPR과 IMC의 PR에 대한 침공 (2000)
수정 | 삭제

MPR과 IMC의 PR에 대한 침공 <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근래들어 MPR에 관한 이야기가 자주 회자되고, 최근에는 MPR (Marketing PR) 또는 IMC(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에 관한 책들이 몇몇 나오고 있습니다. PR에 관해서 이렇게 다양한 방법론을 논하는 요즘 세상의 관심이 참 흥미롭습니다.

 

지난 한달간 바로 어제까지 몇 개의 MPR과 IMC관련 국내 서적을 찬찬히 읽어 보았습니다. 동일한 저자들이 함께 저술하신 최근의 책까지 두권의 책을 포함해서입니다.

 

근래들어 MPR의 번영과 더불어 세계적으로 PR인들 사이에 이슈가 되어가고 있는 것이 “PR의 정체성(Identity)”에 대한 이슈 입니다. “PR이란 무엇이고, PR을 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왜 PR을 하는가..”에 대한 의문이 점점 깊어가고, 많은 실무자들도 혼동을 느끼고 있다는 점은 문제입니다. 모 광고에서 처럼 머리위를 쓰다듬으며 그냥 “나도 몰러~”하면 끝나는 문제가 아님은 의식있는 PR인들을 찹잡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근간의 MPR관련 서적을 접하면서 느낀 점들을 그냥 몇 가지 말해볼까 합니다. 저자분들께 대한 어떤 감정이나 편견이 있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그냥 한 PR인의 정체성에 대한 한탄이라고만 생각해주시면 좋겠습니다.

 

1. MPR과 IMC에 관한 책들의 내용이 좀더 PR적이었으면 합니다.

 

절대적으로 PR에 관한 내용이나 깊이가 부족합니다. Fair한 지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MPR이나 IMC에 대하여서는 지적인 접근을 실행하는 경향이 있는데, PR에는 그렇지가 않은 것 같습니다. 현실에서 일어나고 있는 약간은 편협한 실무환경을 “그냥 PR”이라고 간주하고 MPR로의 단순 흡수를 논하는 것은 Fair하지 않다고 봅니다.

 

대부분의 책에서의 설명을 광고, IMC, 데이터 마케팅등에 할애 하고 있으며, PR에 대한 정의나 다양한 시각도 굳이 광고인들의 시각들을 통해 투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2. PR에 대한 올바른 정의와 근본적 Identity를 인정하셨으면 합니다.

 

Goodwill을 형성하는 것이나 P할것은 피하고 R릴것은 알린다는 등의정의의 목적이 무엇이냐는 자문에 “솔직한 답은 “궁극적으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더 많이 팔기 위해서” 일 것입니다. 결국, 마케팅 수단이라는 것입니다.”라는 표현을 쓰신 저자 분이 계십니다. 이는 PR에 대한 상당한 모독이라고 봅니다.

 

종종 PR을 두 인간의 사랑으로 비유하곤 합니다.

 

결혼을 두 인간이 사랑해서 최종으로 이르는 최상의 가치라고 하면, 곧 Goodwill은 결혼일 것입니다. (맛이 없건 있건 매일) 아내의 밥을 먹고, 생일과 기념일을 챙겨주고, 이야기를 들어주고, 사랑한다고 고백을 하며 안고 볼에 키스를 해주는 이러한 아름다운 모습이 PR이 목적하는 기업(조직)과 공중 개인과의 관계형성(Goodwill형성)이라고 믿습니다.

 

PR은 해당 공중과의 Goodwill을 형성하기 위해서 실행된다고 볼 때, 그것이 궁극적으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더 많이 팔기 위해서라고 해석 된다면, 이는 인간 발달 단계에서 결혼보다는 성(sex)적관심이 더 많은 아직 덜 성숙된 청소년기의 모습과 흡사하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공중과의 관계가 어찌 서비스나 상품의 판매에만 연연한 것이 되겠습니까. 서로가 관계를 호의적으로 같게 되면 해당 서비스나 상품은 당연히 사용하게 됩니다 (두 남녀도 마찬가지지요). 그러나 한번도 그 서비스나 상품을 사용하지 않았어도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는 공중이 존재 할 수 있다는 것은 꼭 PR이 판매만을 목적으로 하는 활동이 아니라는 걸 이야기 해줍니다.

 

제 친구 중에도 특별한 두 친구가 있습니다. 둘 다 저와 학교를 오랫동안 같이 다녀서 요즘 같은 도시 생활에서 현대적 의미의 “죽마고우”라고 볼 수 있답니다. 그 중 친구 A는 말이 없고 무뚝뚝해도 항상 웃는 얼굴이고 무엇이든 이해한다는 표정을 가진 녀석입니다. 가끔씩 그 녀석이 하는 가게에 가서 무얼 사면 고맙다는 표정만 있을 뿐 그냥 웃는 얼굴 그 모습입니다.

 

또 한 녀석 B라는 녀석은 자주 전화도 하고 생일도 챙겨 주는 꼼꼼한 녀석입니다. 누구한테도 인기가 많고, 참 치밀하게 삶을 사는 능력 있는 녀석입니다. 그러나 그 녀석을 만나면 항상 무언가 느껴지는 이해손실적인 감정을 깔고 있다는 생각이듭니다. 친구를 사귐에 있어서 그 상대 존재가 마냥 좋은 것이 아니라 상대가 나에게 언제든 소용이 있다는 식으로 친구들을 확장해 나가는 것 같아 보입니다.

 

왠지 저는 솔직히 A라는 친구가 더 맘에 있습니다. 신뢰가 갑니다. 물건을 사고도 마음이 편합니다. B라는 친구는 항상 여러가지 Offer를 해오지만 그냥 그렇게 머뭇거리고는 합니다. 두 친구가 저에게는 다 좋은 친구들이지만, 우정에 대한 접근 방식이 조금은 다릅니다.

 

직업병처럼 모든 삶의 모습을 PR에 빗대어 생각하는 나쁜 버릇을 가진 저에게, MPR은 제 친구 B의 모습으로 다가 옵니다.

 

절대로 PR에는 판매이외의 목적 그 무언가가 있습니다. PR을 깊게 공부하고 그것을 철학으로 받아 들일 때 이러한 목적관은 더욱 뚜렷해지리라 믿습니다.

 

3. PR = Marketing인가?

 

만약 PR이 마케팅이라면 (아무리 IMC적인 관점이라고 하지만) 기독교가 곧 불교인 모습과 마찬가지입니다. 무슨 뚱딴지 같은 소리냐 하시겠지만, 종교라는 큰 카테고리안에 들어있고 둘다 “인간의 생을 윤택하게 하기 위한 인간의 믿음과 노력”이라는 공통점이 있기 때문에, 다 같은 것이라는 주장을 할 수 있는 거지요.

 

단순하고 약간은 억지 같은 이 비유가 더욱 우리 PR인을 슬프게 합니다. PR의 더 큰 부분을 많은 사람들에게 인지시켜주지 못한 우리의 잘못이 PR내에 마케팅적인 시각 및 비중을 극대화 시킨 근본적 문제점이라고 봅니다.

 

PR은 PR이고 마케팅은 마케팅이라는 믿음은 변함없습니다. 단지 마케팅적 목적달성을 위해 PR적 tool을 사용할 수 있고, PR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마케팅적인 tool을 사용 할 수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렇다고 그 둘의 정체성이 혼합되거나 유사시 되어서는 안된다고 봅니다.

 

4. CPR, MPR, IMC, ICC, 그리고 IC

 

근간 MPR관련 서적에서 흔히 눈에 띠는 것이 CPR, MPR, IMC, ICC 등의 단어입니다.

 

PR을 CPR과 MPR로 나눈다는 것 자체에는 약간의 무리가 있다는 생각입니다. PR이라는 우산속에서는 모든 것이 PR일 뿐입니다. 그 것이 하부 종류로 칼 자르듯이 Corporation PR, Marketing PR이라고 나뉘는 것은 부자연스럽습니다. 엄격하게 말하면 일반적인 MPR이라는 것은 Marketing분야의 소유입니다. IMC야 말로 PR은 아닙니다. 마케팅의 분야이지요. ICC (Integrated Corporation Communication)이라는 말은 흔한 용어는 아니지만, 그 취지가 이해는 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ICC와 IMC의 구분을 둔다는 것 자체가 또한 IMC가 PR이라는 의미이어서 약간은 부자연스럽습니다.

 

가장 대체적이고 포괄적인 의미이자, 발전적인 개념은 IC(Integrated Communications)라고 봅니다. 지난 1월 저의 100번째 글에도 말씀드렸었지만, IMC가 지배하고 있는 PR의 마케팅적 전적 사용을 거부할 수 있는 커다란 개념적 대안입니다. PR을 하나의 IC적 우산 속에서 정체화하고 그 옆의 마케팅과 쌍방적 교류를 할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PR에도 전략성이 있고, 뚜렸한 목표 공중의식과 분석이 있으며, 과학적인 환류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는 것을 마케터분들은 이해해 주셨으면 합니다. 그리고 PR의 Publicity적 개념은 Tool이 본체를 집어 삼킨 특수한 상황적 개념이지 PR자체가 아니라는 것도 이해하셨으면 합니다.

 

5. 그런의미에서 근간의 MPR과 IMC서적들은 Marketer들에게는 좋은 교과서가 될찌 몰라도 PR인들에게는 별반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PR을 보는 시각을 혼동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사회생활을 가장 처음 무엇으로 시작하는가 하는 것이 상당히 한 개인의 사고의 틀을 제한하는 것 같습니다. 처음부터 난을 키우던 사람이 분재를 가꾸는 방법도 잘 알 것이라 생각들 하는데 이는 맞지 않습니다. 별도로 분재공부를 하는 난 애호가라도 분재만을 아는 사람보다는 분재에 대한 깊이가 없을 수 밖에 없습니다. 좀더 폭 넓은 시각이라는 것은 자신의 것 이외에도 다른 것들을 확실히 섭렵하여 그 장단점을 정확히 볼 수 있을 때에 가능하리라는 게 제 생각입니다. 이게 참 어렵지요.

 

근간 MPR과 IMC관련 서적을 지으신 분들은 대부분 광고쪽을 많이 하신 분들이었습니다. 최초 그 분들께서 가지셨던 광고적 마인드와 마케팅적 베이스가 그냥 그대로 PR에 투영되었다는 사실이 약간 안타깝습니다. 또 반대로 생각하면 PR을 제대로 하신 다른 많은 분들은 왜 진정한 PR적 관점을 투영한 책들을 만드시지 않나 하는 의문도 듭니다.

 

항상 Marketing은 Marketer가 PR은 PR person이 논하고 실행해야 한다는 게 저의 생각입니다.

 

아마 “이미지가 실체”라는 말이 있을 겁니다. 그렇다면 밖으로 보여지는 우리 PR의 이미지가 바로 우리가 하는 PR의 실체인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나니…힘이 빠집니다. 좀더 힘있는 PR을 고집하시고 주장하시는 분들이 많이 나와주시기를 바랍니다.

 

앞으로도 MPR과 IMC의 PR정체성에 대한 위협에는 단호한 입장을 견지하고 싶습니다. 홍보 그리고 PR만을 사랑합니다

by 우마미 | 2006/12/03 18:43 | 옛글들(2000) | 트랙백 | 덧글(0)
11월 152007 0 Responses

KPRCA (The Korea Public Relations Consultancy Association) (2000) 수정 | 삭제

KPRCA (The Korea Public Relations Consultancy Association) (2000)
수정 | 삭제

KPRCA (The Korea Public Relations Consultancy Association)  <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어제 12월 1일 롯데 호텔 36층 벨뷰룸에서는 국내 17개 PR에이젼시들의 대표 및 직원들을 포함한 약 9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PR기업협회 창립식이 치루어 졌습니다.

 

여기저기에서 반가운 얼굴들이 참 많았습니다.

정말 우리나라에서 PR에이젼시들이 생긴 이후 아마 처음으로 위로는 회장님,사장님로 부터 아래는 몇개월차 AE들까지 한자리에 앉아 먹고 마시며 즐거워 한 시간이 아니었나 합니다.

 

특이하게 이 PR 업계에서는 아직도 인간적인 카리스마를 간직한 Hero들께서 살아계시더군요. 국내 PR 1세대들이 지금 바로 PR을 시작한 새내기 PR인들에게 가까운 곳에서 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 만으로도 이번 모임이 참 뜻깊은 자리였다는 생각이 듭니다.

 

종종 클라이언트를 앞에 놓고는 진정한 맞대결을 겨루는 경쟁자들이지만, 이렇게 모여서 이야기들을 나누고 함께 발전해나가는 자리에서는 한 가족 식구나 다름없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전반적으로 여러곳에서의 축하인사들과 같이 기분좋은 자리임에는 틀림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이전에도 지적했듯이, 일부 사장님들의 의견일치로 진행되는 회의 운영 시스템이 아직은 우리 KPRCA의 갈길이 멀지 않나하는 생각을 하게 하더군요.

 

좀더 전문적인 Communicator들의 모임으로서 폭넓은 참여와 각종 분과별 Communication이 활성화 되는 민주적인 시스템을 구축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아직은 발족초기이고, 여러방면에서 힘을 실어 주어야 할 Incubating기간이긴 하지만, 좀더 민주적이고 회원사 및 회원들의 자발적인 애정과 참여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몇몇 광고대행사내의 PR부서에서의 항의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를 추후 논의를 할 것이라는 약속을 하시기는 했지만, 약간의 융통성을 가지고 win win하는 결정을 내렸으면 합니다.

 

모두로 부터의 사소한 불만까지 없을 수는 없지만, 협회의 존립자체를 부정하게 할 만할 문제는 최소화 시키려는 노력이 있어야 할 것으로 믿습니다.

 

어제 모임에서도 너무나 열정적인 우리 PR AE들을 만나고 보았습니다. 이들의 힘을 하나로 모을 수 있는 무언가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젊은 우리 AE들의 발전적인 모임이 곧 생겨나기를 바랍니다.

 

암튼 전반적으로 즐겁고 행복한 모임이었습니다.

2001년 부터 더욱 발전하는 우리 PR에이젼시들이 되리라 믿습니다.

 

행복한 홍보!

 

by 우마미 | 2006/12/03 18:41 | 옛글들(2000) | 트랙백 | 덧글(0)
11월 152007 0 Responses

PR業 & 2000年 12月 1日 (2000) 수정 | 삭제

PR業 & 2000年 12月 1日 (2000)
수정 | 삭제

PR業 & 2000年 12月 1日  <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내일인 2000년 12월 1일은 우리나라 최초로 PR 대행사들만의 협회가 발족하는 날입니다.

 

우리나라 PR에이젼시 산업의 역사는 1987년 커뮤니케이션즈 코리아의 설립으로 시작됩니다. 그 이전에 한스PR이라는 대행사가 생기기는 했지만, 진정한 PR대행이라기 보다는 영문자료 번역쪽의 일이 주였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1988년 올림픽의 국내 개최 (버슨 마스텔러의 활약)로 이 땅에는 진정한 PR이라는 (유가)서비스가 소개 되었습니다. 그 이전에는 홍보란 그냥 회사내에서 열심히(?) 무언가를 하는 업무의 하나로 여겨졌었습니다만, 1988년 부터는 이 PR이라는 것이 돈을 주고 사야하는 전문 서비스라는 개념이 소개되기 시작했던 것입니다.

 

그 당시 PR에이젼시의 주고객은 거의 대부분이 국내에 들어온 다국적 기업이었습니다. 이때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습니다. 국내 기업들은 선뜻 PR 서비스를 엄청난 돈을 내고 살 생각을 하지 않았던 때이니까 말입니다.

 

90년대 중반까지 PR업은 황금기를 맞습니다.

많은 대규모 다국적 기업들이 거의 외국 수준의 Professional Fee를 선뜻 내놓고 일상적인 PR을 의뢰해왔었습니다. 외국의 거대 PR 에이젼시들과 파트너식의 계약을 맺은 주요 대행사들은 이 기회를 충분히 이용했고, 나름대로의 명성과 경험을 쌓을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 기간동안 국내 PR대행사들의 PR 업무 형태는 일반 국내 기업내의 인하우스 인력들이 보기에는 무언가 비어있는 듯한 모습이 었던게 사실입니다. 거의 “한국적 PR”의 전형들을 그들의 업무 활동에서 찾아 보기 힘들었기 때문이었습니다.

 

한마디로 그당시 인하우스 인력들은 에이젼시 인력들이 쉽게 일하는 사람들로 보였을 겁니다. 우리나라에서의 적극적(!)인 홍보방식을 무시하는 그들의 업무 행태가 가소로와 보였을 겁니다.

 

그러나 에이젼시 인력들은 그 클라이언트들의 요구대로 충실히 행했을 뿐이었습니다. 잔잔한 해변에 앉아 있으면 옷이 촉촉해 지듯이 단기간의 무언가를 바라고 뛰지 않는게 다국적 기업들의 PR자세이었기에 그들은 그냥 그렇게 따랐을 뿐이었습니다.

 

90년 중반에 들어서며 전문분야의 대행사들이 생겨나기 시작 했습니다. 소위 IT전문을 표방한 몇몇 대행사들이었습니다. 지금은 큰 어른이 되어버린 몇몇 IT전문 대행사들이 다 이 기간에 발아를 했습니다. 그들은 순수하게 국산을 표방하며, 또 전문분야를 강조하며 열심히 뛰어왔습니다.

 

IMF가 왔을 때, 많은 PR 대행사들도 어려움을 겪었고, 약간의 절망의 시기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한편으로 외국기업을 클라이언트로 많이 가지고 있던 외국계 에이젼시들은 엄청난 환차익에 소리없는 환호를 지르기도 했던 희비의 교차기 였습니다.

 

IMF상황이 마무리되자마자 우리나라에는 벤쳐열풍이 들어 닥쳤고, 이러한 트렌드는 거의 폭발적으로 국내 PR 서비스 수요를 확장 시켰습니다.

 

PR인들의 몸값이 치솟기 시작했고, 대행료도 따라 올라 에이젼시들도 금방 벼락 부자가 되는 듯한 기쁨의 시기 였습니다.

 

그러나 시장의 외적인 팽창은 오래가지 못한다는 것을 우리는 깨달아야 했습니다. 만약 지난 우리 PR계의 호황이 우리자신들의 내적인 Potential에서 기인한 것이 었다면 이야기는 달라졌을 것입니다. 마치 뜨거운 바람이 잔뜩 들어간 갖쪄낸 찐빵을 덥석 물고 놀라 우는 아이의 모습이 현재 우리의 모습이 아닌가 합니다.

 

시장에 경쟁은 있는데 실력은 없는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비지니스 경쟁이 이전투구의 양상을 띠고 있었습니다.

서비스와 질의 경쟁이 되어야 할 경쟁에 예의와 윤리가 없었습니다.

PR계의 원로들은 이전의 황금기를 그리워 하기만 할뿐, 자생적인 생존력을 키우려 하지 않고 있습니다.

PR계의 중진들은 우리 산업에 대해 그리 깊게 고민하거나 이끌려는 마음이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PR계의 신진들은 소모적인 직업 및 직무상의 고민에 괴로워 하고 있습니다.

 

PR 시장에는 Rule이 필요한 때가 되었습니다.

PR 실무자들에게는 윤리가 필요한 시대가 되었습니다.

PR계의 원로들은 수많은 후배들에게 비젼을 제시하고 직업상의 철학을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 줄 때가 되었습니다.

PR계의 중진들은 자신의 양명과 함께 우리 산업에 대해 고민하고 그 해결책을 도모하는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 줄때입니다.

PR계의 신진들은 어제같지 않은 오늘, 오늘 같지 않은 내일을 위해 소모적인 방황과 이별해야 합니다. 열심히 배우고 연구하고 실행하는 “무서움 없는 아이들”이 되어야 합니다.

 

내일 2000년 12월 1일은 PR대행사들의 협회가 발족한답니다.

17개 에이젼시가 참여하지만, 앞으로는 더욱 많은 에이젼시가 함께 하리라 믿습니다.

 

일각에서는 이에 대한 다양한 불만의 목소리가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그 중 가장 이슈가 되는 것이 2년 미만의 에이젼시는 입회를 제한하는 규정이라고 볼수 있겠습니다.

 

저도 이 2년 관련 규정에는 의문이 있습니다. 그 2년이 어디서 어떻게 나온건지 참 궁금합니다. 비판의 일각에서는 이 2년 조항이 최근 벤쳐 붐으로 생겨난 많은 소규모 에이젼시들을 의도적으로 제외하기 위한 발상이라는 주장을 합니다. 과연 무었이 진실일찌는 모릅니다.

 

그러나 저는 본 PR기업 협회의 중심의의가 “공정한 PR시장 질서 확립과 에이젼시간의 상호 발전 및 공정한 경쟁 촉진”이라고 봅니다.

 

본 협회가 아직까지 특정 금전적인 특혜를 회원사들에게 제공하지 못한다는 것이 현실인 상황에서 “자기들의 밥그릇을 확보하려는 음모”라는 주장은 약간 과장이 있는 것 같습니다.

 

1998~9년사이에 생긴 많은 벤쳐전문 에이젼시들도 내년이나 내 후년 정도면 모두 본 협회에 가입하리라 봅니다. 그때에는 2년 룰을 탓하지 않으리라 봅니다. (긍정적으로 생각하자는 취지입니다.)

 

한가지 중요한 문제점을 궂이 지적하자면, PR기업협회가 주요 에이젼시들 중 “사장님들”만의 잦은 만남으로 발족되었다는 것입니다. 모 에이젼시의 간부님께서 중심적인 주축을 이루셨다고 하지만, 좀 더 폭넓은 쌍방향적인 커뮤니케이션 노력이 업계 전반에 있었다면 더욱 좋았을 것이라고 봅니다.

 

내일 개인적으로도 롯데호텔에서 열릴 협회 발족식에 참여 할 예정입니다. 큰 선배님들만의 잔치가 아니라 우리 PR 에이젼시계 모두의 잔치가 될 수 있도록 애정어린 마음으로 참여하려 합니다.

 

앞으로 우리모두가 종종 에이젼시 및 협회에 대한 따가운 비판과 따뜻한 격려를 함께 아끼지 말았으면 합니다.

 

곧 개편되는 우리 홍사모 사이트에도 PR대행사 AE들의 모임이 생겨났으면 합니다. PR기업 협회의 하부조직으로 만들어져도 좋을 것으로 봅니다. 젊은 우리 PR AE들의 열정과 멋을 과시하는 좋은 기회가 있기를 바랍니다.

 

내일 발족식 참석후에 느낀 후기를 또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홍보!!

by 우마미 | 2006/12/03 18:40 | 옛글들(2000) | 트랙백 | 덧글(0)
11월 152007 0 Responses

국내 PR계 근황에 대한 이야기 (2000) 수정 | 삭제

국내 PR계 근황에 대한 이야기 (2000)
수정 | 삭제

국내 PR계 근황에 대한 이야기  <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얼마전 모 대학으로부터 한 홍보교육과정 프로그램에 관련한 DM을 받았습니다. 한번 유심히 들여다 보았더니, 국내 PR 전문가 인증을 수여한다는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그 인증이 어떻게 이루어 지는 건지 어떤 기준에 의해 수여가 되는 건지에 대하여서는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국내에서도 PRSA의 APR 시험이 치루어 진다고 하더군요. 벌써 몇 분의 업계 선배님들이 시도하셔서 성공하셨지요. APR은 그 명성과 신뢰도에 있어서 PR 업계에서는 공히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certificate이지만, 국내의 인증 제도는 누가, 어떻게 만들었는지 참 궁금합니다. 만약 그것이 PR계의 중의를 모아서 시작되었다면, 당연히 PR협회에서 주관을 하고 시행도 해야 하겠지요.

 

근래에 들어 많은 홍보 교육 프로그램들이 생겨나고 호황을 누리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각 신문사들의 문화센터들이 한 유형이고, 경영관련 협회쪽의 부류가 있고, 또 각종 홍보 관련 에이젼시들이 제공하는 부류가 있고, 맨 위의 경우와 같이 대학교에서 실시하는 프로그램들이 있답니다.

 

그 외적 다양성으로 볼 때 홍보를 공부할 수 있는 인프라가 구축되었다는 점에서는 감사할 일입니다. 단지 우려되는 것은 각각의 프로그램들이 자신들의 reputation을 위해 갖가지 인증 제도를 만드는 사태입니다. 물론 졸업장이나 수료증을 가지고 certificate를 삼는 것 정도는 괜찮고 당연한 것이겠지만…국내에서 PR인으로 인증을 받으려면 우리 프로그램만을 들어야 한다는 프로그램 이기주의가 다시 한번 우리 PR계를 어지럽게 하지는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미국의 경우에도 PR협회들 중에 certificate를 수여하는 협회가 꽤 됩니다. 그중 우리에게 가장 잘 알려진 것이 PRSA의 APR이고 또 IABC에서 수여하는 ABC인증이 있습니다. 보통 이 두 가지의 certificate이 가장 권위를 인정 받는 것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이렇게 두개의 인증제도가 스스로 사회에서 인정 받기에는 너무나도 길이 멀었습니다. 그리고 현재도 사회적 인정과 이해도모를 위해 열심히 커뮤니케이션 하고 있습니다.

 

인증을 수여 함에 있어서 인증기관은 그 인증을 수여하는 일 자체에 만족해서는 안됩니다. 인증을 더 많은 (자격 있는) PR인들이 받을 수 있도록, 그리고 그 인증을 받은 전문가들이 더욱 프라이드를 가지고 사회적 인정을 받을 수 있도록 인증기관 차원의 피나는 지원과 투자가 필요한 것입니다.

 

또한 엄청난 돈을 내고 프로그램을 들어야만 인증시험을 볼 수 있다는 것도 바람직 하지 않습니다. 원래 PR인 인증이라는 것이 업무적 지식은 기본이고 주된 인증 분야가 직업의식과 직업윤리 분야이기 때문에 60시간 내지 100시간의 이론강의와 실무강의를 듣는다고 나아질 것은 없다고 봅니다. 외국을 방문하는 프로그램도 곁들여 있는데, 뉴욕에서의 3박이 어떤 효과를 줄찌는 의심스럽습니다. 몇몇 대학들도 학생들을 데리고 연수명목으로 뉴욕순례를 하고…미국의 대표적 명교수가 계시는 대학을 방문하기도 하는데 이런 것도 좀…

암튼 인증시스템은 자격을 갖춘 실무자라면 누구나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물론 첫술에 배부르냐고 하시겠지만, 현재 업계의 분위기를 보아서는 조만간 우후죽순격의 인증 제도가 선보일 것 같습니다. 가뜩이나 기업관련 커뮤니케이션 사람들이 소위 “딴따라”나 “영업사원”격으로 비쳐지는 이 환경에서 외적 정통성을 가지지 못하고 역사도 짧은 갖가지 인증이 난무하면 어떡하나 하는 게 몇몇 분들의 걱정인 것 같습니다.

 

(곁길로 잠깐 빠집니다) 언젠가 한 TV 드라마에서 본 광경입니다.

 

성공하신 아버지 (대기업 사장정도가 되보이는)가 거실에서 신문을 보고있는 데, 그분의 아내와 고3생인 아들이 머뭇거리며 다가와서 하는 말.. 아들: “아버지, 저 드릴 말씀이 있습니다. 저 법대 안갑니다. 저는 신문방송학과에 진학하고 싶습니다..” 그 이야기를 들은 아버지: (신문을 집어 치우며) “뭐? 신문방송학과? 야 이자식아 그렇게 딴따라가 되고 싶냐? 다 집어 치워…에잇…”

 

이런 드라마 내용을 보면 우리 PR인은 웃어야 됩니까 울어야 됩니까?

 

많은 연예인들이 대학원에 진학하고 있습니다. 거의 많은 사람들이 신문방송 및 언론홍보대학원에 진학을 하지요..아마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연극영화”쪽으로는 석사학위를 따기 싫어서라고 봅니다만, 왜 하필 신문방송학과 또는 언론홍보학과를 선택했는지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학과 이름을 보고 막연히 들어가는 학부생들도 아닐찐데…

 

다시 인증관련 이슈로 돌아와서…

 

최근에는 정부에서도 PR인증제도에 관심을 보이는 것 같았었습니다. 영국의 사례같이 정부또는 공공기관에서 공적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를 벤치마킹 하는 것 같았습니다. 만약 민간 PR관련 협회에서 적극적으로 인증제도를 설치 운영한다면 정부에서의 지원도 불가능하진 않을 것이라는 뉘앙스의 이야기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말 그대로 “제대로 모습을 갖춘 조직”이 없다는 이야기에 부끄럽기만 할 뿐입니다.

 

업계에서 어느 정도 PR업종에 관심을 가지신 분이라면 권위있는 인증제도의 주관이 얼마나 엄청난 일인지를 아실 것입니다. 향후 정부를 비롯하여 많은 PR적인 수요가 예상되는 시장 상황에서 실무자의 인증은 수많은 국내 실무자들에게는 군침당기는 그 무언가가 아닐 수 없습니다. 또 주관을 하는 쪽은 권위를 인정받고 (외향적으로나마) 많은 부가적인 무언가를 얻을 수 있다는 데서 매력적이지 않을 수 없습니다.

 

최근 인증과 관련한 한 DM을 보면서 만약 그 인증이 PR협회나 또는 누구나 인정할 수 있는 PR관련 특정 협회에서 주관을 하는 것이라면, 다시 말해서 그 학교는 실시만 하는 기관이라면 그에 대한 PR업계를 대상으로 하는 명확한 홍보 노력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다른사람은 Publicity를 해준다면서 자기 자신의 Publicity엔 무관심한 우리 PR업계의 습관을 이젠 벗어 버렸으면 합니다. 업계인들의 Consensus없이 어떻게 그것을 명실상부한 업계 실무자 인증이라 할 수 있겠습니까.

 

또 들리는 이야기에 의하면 PR대행사 경영진들께서 곧 PR업 협회를 창립하신다고 합니다. 상당히 발전적인 시도라고 봅니다. PR 에이젼시에 몸담고 있는 사람으로 이러한 모임을 언제나 그려왔었습니다. 이번 협회의 창립이 그냥 형식뿐인 모임이 되지 않고 진정하게 PR 서비스의 질 향상과 발전적 경쟁 분위기 조성하는 모임이 되려면 많은 PR 에이젼시 사장님들의 자기 희생적인 PR업에 대한 사랑이 있어야 될 것입니다.

 

((이에 관련한 곁길 하나))

모 매체 주관 사장님들의 간담모임에서 각사의 사장님들을 수행한 에이젼시 AE들이 서로 뒷자리에서 명함을 나누고 있었답니다. 모 에이젼시의 여사장님께서는 정신없이 타 사장님들과 안부 인사를 나누시고 계셨답니다. 모 에이젼시의 사장님이시라는 걸 알은, 한 타 에이젼시 AE가 조용히 다가가 명함을 건네며.. “안녕하세요, 사장님.. XXX의 OOO이라 합니다. OOO을 홍보 담당하고 있습니다.” 그 사장님 왈 “아..그러..세요. 전 대행사 사람들 잘 몰라요.” 사장님 딴척…..계속.. 분위기 썰렁.

 

진짜 에이젼시 사업을 사랑하시고, PR인을 존경하시는 사장님이시라면 그러시진 않을 것입니다. 에이젼시 비즈니스가 서로 영업경쟁이 되어서는 무슨 발전이 있습니까. 금번 PR업 협회의 활동으로 인해 앞으로 업계에서의 “무분별한 영업전쟁” “무식한 가격전쟁” “안이한 서비스 품질관리” “열악한 사원 처우”등의 고질적이고 구조적인 문제들이 어느 정도 해결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우리 업계에는 어느 업계보다도 많은 우수 인력들이 계십니다. 이러한 우수인력들의 집합이 사회적으로 힘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은 우리를 이끄시는 선각자분들이 구조적이고 조직적인 노력을 게을리하시기 때문이라고 감히 봅니다. 근래 일어나는 몇 가지 노력들이 좋은 쪽으로 발전해서 우리 업계가 새로워 졌으면 합니다.

 

잘되리라 믿습니다. 홍보!!

 

by 우마미 | 2006/12/03 18:39 | 옛글들(2000) | 트랙백 | 덧글(0)
11월 152007 0 Responses

반론에 대한 답변 (2000) 수정 | 삭제

반론에 대한 답변 (2000)
수정 | 삭제

반론에 대한 답변<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먼저 저의 글을 자세하게 읽어 주신다는 점에서 깊이 감사드립니다.

그렇습니다. 질문하여주신 항목들이 정말 자주 화두가 되고 시시비비가 많은 이슈인것이 사실입니다.

 

간단하게 답변을 드리도록 노력했습니다.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Public relations와 Publicity를 의미와 영역면에서 어떻게 구별할 수 있습니까?

 

– 다아시겠지만…PR과 Publicity의 교과서적인 개념을 떠나서 실무적으로 생각해 볼때, PR은 기업의 경영철학을 중심으로 한 경영적 행위라고 봅니다.

 

경영적 행위라 하면 기업이 살아나가기 위해서 필요한 기업의 모든 활동이겠지요. 그래서 PR은 생존환경으로서의 공중들과의 상호관계 맺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것이 전략적으로 기획되고 실행됨으로서 그러한 환경창조를 촉진하는 것이겠지요. (좀더 생산적이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Publicity는 PR을 위한 하나의 수단이라고 여겨집니다. PR의 수단에는 여러가지 (거의 모든 커뮤니케이션 현상..)가 있는데 그중 하나이겠지요. 성공적 PR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필수 불가결한 주요 하부수단입니다.

 

이슈는 이 Publicity가 PR적 목표를 위해 사용되느냐, 아니면 마케팅적인 목표를 위해 사용되느냐 하는데 있습니다. 보도자료를 쓰거나 미디어 이벤트를 할 때 과연 그러한 활동의 직접적 목적이 무었이냐 하는 것을 돌이켜 보면 지금 만들고 있는 보도자료가 마케팅 활동인지 아니면 PR활동인지 구별이 가실겁니다.

 

물론 마케팅과 PR을 상반되거나 적대적(?)으로 보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서로 상호보완적이지만 또 일방편중적이 되서는 안된다는 점에서 자꾸만 강조를 하는것 이지요.

 

 

2. 이러한 차별화가 “중소기업이나 벤쳐”라는 특별한 context에서 각각 어떻게 다르게 적용된다고 생각하십니까? (쉽게 이야기하면, 왜 중소기업이나 벤쳐에서는 PR이 아닌 Publicity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아시다시피, 벤쳐기업들에게는 풍부한 예산이나, 상당한 심도와 사회성을 지닌 기업철학, 인력, 절대적 기간적 여유가 분명 부족한 것이 사실입니다.

 

현재 벤쳐기업들의 CEO들께서 목적으로 하시고 계시는 분명한 목표는 “생존과 성장”이라고 봅니다. 이러한 시장경쟁 상황에서는 분명 기업의 사회성 및 철학적 공유등과 같은 이상적이고 광범위한 PR적 지상목표들이 별로 관심을 끌수있거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라는 말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수많은 Publicity전문가들이 계십니다. 그분들에게 오늘날의 벤쳐들은 큰 시장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또한 벤쳐기업들은 그들의 능력이 또한 필요합니다.

 

단지 제가 말하고 싶은 것은 벤쳐 경영진들과 인하우스 인력들께서는 “오늘날은 비록 이렇게 부분적인 Publicity에 국한하여 일을 진행 하지만 우리회사가 커지고 시스템이 구축되면 언젠가는 사회적인 PR을 해야한다!”하는 마음을 가져달라는 것입니다. “다 PR이라는게 이런게 아니겠어…그럼”하는 현실안주적이고 현실만족적인 생각을 하시면 진정한 성장이 있을 수 없다는 이야기이었습니다.

 

또한 에이젼시를 선정하거나 전문가를 채용할 때에도 거창하거나 어마어마한 PR적 목표를 제시해 주시거나 지향하시기 보다 좀더 포커스화 되고 기업자신의 현 목표에 맞는 “알맞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와 능력”을 구입하시라는 겁니다. 제한된 자원을 낭비하시지 않기 위해서 말입니다.

 

 

3. Publicity와 Marketing은 각기 다른 function을 하는 독립된 분야들인데, 왜 함께 bind해서 생각하십니까? 그럴만한 특별한 이유가 있습까?

 

– 저는 절대로 Publicity와 Marketing을 bind해서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런 뉘앙스를 풍겼다면 제가 글을 잘 못쓴 탓이겠지요…

 

저는 위에서도 말씀드렸다시피 Publicity가 하나의 Communication Tool이라고 보기 때문에 그것이 Marketing에서 사용되던 customer servoce에서 사용되던 상관이 없다고 봅니다. (사용자의 목적에 부합만 된다면..)

 

그런 의미에서는 Publicity와 Marketing이 각기 다른 function이라고도 생각하지 않습니다. 마케팅의 유용한 하부 수단이 될수 있기 때문입니다.

 

단지 마케팅적인 도구로 사용된 Publicity, 즉 “마케팅 활동”을 “PR활동”과 혼동하진 말자는 제안입니다. 그것을 혼동한다면 PR인이 곧 마케팅인이 되는 것이니까 말이죠. 이는 분명한 PR업에 대한 정체성 위기가 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저와 많은 PR인들은 이를 우려하고 있습니다.

 

이상이 답변입니다.

개인적으로 이메일을 주시면 추가적인 이야기도 가능하겠습니다.

 

저의 모든 이야기들은 우리가 PR인으로서 확실한 정체성을 지닌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우리가 지금 무슨일을 하고, 왜 하는가에 대한 개개인의 개념수립이 필요하다는 말입니다.

 

혹시나 마케팅을 하시는 분들이나 그와 관련되신 분들이 제글을 읽으시고 잘못이해를 하신다면 모두 저의 부족한 글솜씨 때문이라고 이해하시고 절대적으로 이 이슈는 PR인들의 내부 이야기라고만 생각해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적절하신 질문에 감사드립니다. 답변이 적절하지 못했다면 개인적으로 이메일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재 답변

 

, Sungpal2002라고 적어주신 님의 멋진 글 잘 읽었습니다.

제가 이곳에 글을 올린지 1년이 훨씬넘는데, sungpal2002님과 같은 조직적인 질문을 받아보기는 또 처음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이런 토론이 더욱 많아졌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Sungpal2002님…다음번에는 실제성함을 알려주시지요. 홍사모는 실명 커뮤니티입니다. ^^

 

답변드리겠습니다.

 

1. 저도 님의 의견과 같이 media relations를 publicity와 혼동하지는 않습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media relations를 publicity와 동의어로 사용한 적은 없는 듯합니다.

 

님의 PR에 대한 정의는 정확합니다. 아무래도 그루닉 교수님의 영향을 받으신 듯 하군요… 그러나 실전에 있어서 진정한 Publicity는 최대한의 공중에 대한 이해와 분석을 통해 결정되는 전략적인 행위이기 때문에 “일방적으로 공중에게 disseminating”이라는 말은 물리적으로는 몰라도 커뮤니케이션적으로는 약간 어울리지 않는 옛날 정의 같습니다.

 

또한 favorable media coverage를 얻는 것이 publicity의 가장 일반적인 communication objective라는 님의 말에도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그러나 저는 개인적으로 publicity자체를 조직이 가지고 있는 특정한 메시지를 적절한 공중과 알맞은 시점에 정확히 커뮤니케이션하기 위해 사용하는 중요한 tool로 보고있기도 합니다.

 

2. 제가 벤쳐나 중소기업들에게는 PR이 필요하지 않다는 이야기를 한 것은..상당히 현실적인 상황에 그 주장의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많은 벤쳐기업들과 중소기업들이 아직까지는 기업PR의 근간이 되는 기업철학에 대한 성립이 미비한 것이 사실입니다. 이러한 기업들의 CEO들께서 가지고 계시는 PR관이란 상당한 의미에서 우리들의 의미와는 다른점을 보여주십니다. “하나의 마케팅 툴로서의 PR”이 일반적인 그들의 인식입니다. (물론 이도 의견이 있겠지만..국내에서는 마케팅과 PR의 개념적 혼동이 확실히 존재합니다.)

 

저는 이러한 혼동속에서 PR이라는 순수한 활동을, 또 그 자체의 identity를 확실히 구축하고 싶습니다. 결론적으로 기업주들께서 회사의 마케팅을 위해 PR을 사용하신다면…그것을 마케팅 활동으로만 아시고 열심히 사용하시라는 의미입니다.

 

물론 사회적 책임과 여러가지 이유로 인하여 모든 기업들이 (순수한 의미의)PR을 해야 한다는 데는 의견의 여지가 없습니다. 제가 publicity만을 사라고 권하는 대상 기업은 이러한 순수한 PR을 현재 하지 않겠다는 회사들입니다. (여러가지 자신 기업들의 현실을 그 변명으로 제시하시는..) 절대 이에 대한 오해가 계시지 않기를 바랍니다. ^^

 

3. sungpal2001님께서 언급하신 대목입니다.

 

**”Fire Stone사에게 필요한 것은 고차원적인 PR이기 보다는 favorable한 media coverage를 얻는 식의 simple한 publicity이다”라는 식의 의견은 매우 controversal합니다.**(sungpa2002님의 글)

 

이것은 sungpal님께서 저의 글을 잘못이해하신 것 같습니다. 저도 글을 어리버리하게 썼더군요…죄송합니다. 아래에 그러한 오해를 불러일으켰던 저의 글 대목이 있습니다. 좀더 자세한 설명을 곁들였습니다.

 

** 이글에서 처럼 이미 누구나 스톤사에게는 PR이라는 서비스가 필요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고, 스톤사의 내부에서는 죽어도(?) PR적인 조언들을 받아 들이지 않을 것이라는 알고 있는 한, 스톤사를 클라이언트로 받아 들인 켓첨사가 성공하리라는 의견을 피력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제 글중에서..) **

 

이글은 아래의 영문 칼럼에서 재인용 한 것입니다. “이미 누구나 스톤사에게는 PR이라는 서비스가 필요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고..”는 아래의 “For Ford and Firestone it’s not a question of public relations but public perception.”이라는 대목을 인용했습니다. 사실 스톤사가 PR로 모든 일을 해결할 수는 없어 보입니다. 그래서 그 이전에 더욱 고객지향적인 비즈니스적 결단이 있어야 한다는 이야기였습니다. (타이레놀 사례와 같이..)

 

For Ford and Firestone it”s not a question of public relations but public perception. Did these guys sell us faulty trucks? Has Firestone had a persistent problem with tread separation on these tires? Was there a cover-up? Fix those problems first before turning the PR folks loose to smooth and confuse the issues.” (인용칼럼부분)

 

만약 제가 인용한 부분이 sungpal2001님께서 지적하신 곳과 틀린다면 정확한 앞뒤문장을 제시하여 연락주십시오. 검토하겠습니다. ^ ^

 

4. Sungpal2002님 께서 또한 언급해주신 부분입니다.

 

**중소기업이나 벤쳐에는 PR보다는 publicity가 바람직하다는 thesis에도 저는 이견이 있습니다. 아무리 resources가 한계가 있다고 하지만, 공중과의 “relations building”이 결여된 상황에서 단순한 “알리기”식의 PR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중소기업이나 벤쳐의 경우에는 maketing에 처음 진입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단발성 publicity보다는 오히려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strategic communication으로 공중과 우호적인 relation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환언하면, 저는 publicity보다 excellen한 PR이 가장 필요한 기업들이 오히려 중소기업이나 벤쳐들이라고 생각합니다.***(sungpla2002님의 글)

 

, 동의 합니다. 저의 의견도 이와 정확히 같습니다. 지난번 답변에도 말씀드렸지만..이는 인하우스 분들의 의지에 달려있습니다. Excellent한 PR이 필요한 기업은 꼭 해야 합니다. 다만 그러고 싶어도 하지 못하거나 하기 싫은(?) 기업도 있다는 사실이 안타까울 따름이지요.

 

5. IC에 대한 관점은 제가 이전글에서도 상당히 반복적으로 피력을 한 걸로 기억이 됩니다. Sungpal2002님께서는 저와 같은 IC에 대한 철학이 계시는 것 같아 너무 반갑습니다.

 

마지막으로 또 다시 어리버리한 답변을 드리게 되서 죄송하다는 말씀올립니다.

 

Sungpla2002님뿐아니라 몇몇 분들께서도 저의 글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피력해 주시곤 합니다. 그러한 지적과 비판을 아주 행복하게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제가 감히 권해드리는 것은 저의 지난 글들 (작년부터..)을 한번 차근차근하게 읽어주셨으면 하는 겁니다. 약 100여개가 넘는 글들 중에서 저는 제 자신의 PR적 철학을 반복적으로 피력했다고 자신합니다. 비록 단편적인 글들이 마음에 걸리시거나 이상해 보이시더라도 저의 지난 글들을 대부분 이해하시고 익숙하신다면.. 더 큰 그림을 보아 주실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방장이신 종혁님…지난게시판 보기가 안되네요 살려주세용..으흑)

 

여하튼 저의 모자란 글을 그렇게 멀리서까지 읽어 주시는 여러분들게 다시한번 감사하다는 말씀 올립니다. 김정남씨께도 안부전해주시기 바랍니다. Sungpal2001님… 감사합니다.

by 우마미 | 2006/12/03 18:38 | 옛글들(2000) | 트랙백 | 덧글(0)
11월 152007 0 Responses

“미래의 PR 전문가”를 위한 10가지 조언 (커크 홀러헌 교수) (2000) 수정 | 삭제

“미래의 PR 전문가”를 위한 10가지 조언 (커크 홀러헌 교수) (2000)
수정 | 삭제

“미래의 PR 전문가”를 위한 10가지 조언 (커크 홀러헌 교수)  <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미국 콜로라도 주립대학의 커크 홀러헌 교수(정확한 발음이 이런지는 잘 모릅니다. 뵌적이 없으니까요.)는 자신의 학생들을 위해 자상하기로 유명합니다. 매스커뮤니케이션과 테크니컬 커뮤니케이션을 강의하는데 PR에 있어서도 상당한 애정을 가지신 분으로만 알고 있습니다.

 

종종 여러 PR관련지들에 글을 올리시는데, 그분만의 꼼꼼함과 잘정돈된 자료들이 맘에 들더 군요. 그 밑에서 PR을 배우는 학생들이 부러워 지는 것도 이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홀러헌 박사가 주장(?)하시는 미래의 PR전문가를 위한 10가지 조언은 마치 자신이 배출하고 있는 한명한명의 학생들에게 하고 있는 애정어리고 뜻깊은 충고 같습니다.

 

10가지 조언을 하나 하나 차근차근 보고나면 우리나라와 미국의 PR인들이 자신의 업무를 바라보는 시각에 있어서 많은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정감이 가도록 비슷한 시각도 물론 있지요.

 

홀러헌 교수가 사랑하는 제자들에게 주는 이러한 직업적 철학과 조언들이 우리나라에서 PR을 공부하는 많은 학생들에게도 전해 졌으면 합니다. 기존의 학교가 다해주지 못한 지식의 전수와 직업철학의 연마를 이러한 외국의 정보에 의지하여야 한다는 게 가슴 아프지만…언제나 환경을 탓할 수는 없는 일입니다.

 

국내의 여러 PR모임들에서도 근래들어 많은 전문적인 노력들이 가시화 되는 것 같아 정말 기쁩니다. 이러한 학습과 공유 그리고 정보의 나눔을 위한 노력들이 계속된다면 언제가는 우리나라도 진정한 PR전문가들이 체계적으로 양산되어 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그날이 올때까지 우리 선배들도 개인적으로 부단한 자기노력과 학습을 게을리 하면 안되겠습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알기쉽게 의역하여 정리한 홀러헌 교수의 10가지 조언이 아래에 있습니다. 모든 이야기들이 하나도 흘려 들을 것이 없는 중요한 조건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 아래에는 더 자세한 설명을 위한 원문을 첨가합니다.

 

농담입니다만(?), 아래의 조건들을 충족시키는 동시에 철저한 직업관으로 무장한 후배들이 떠오르는 날에는 곧 저 자신도 일할 자리가 없어지지 않을까….무덤(?)을 파는 심정으로 글을 올려 봅니다…으으..

 

후배들의 선전(?)을 기대하며 홍보!

 

**********************************************************

미래의 PR전문가를 위한 10가지 조언

 

1. PR은 주로 저널리스틱한 작업 이다.

2. PR은 힘든 일이다.

3. PR은 항상 다양한 종류의 관계맺기이다.

4. PR결과는 필히 양적으로든 질적으로든 측정되어 져야 한다.

5. PR인이 곧 완전한 해결책들을 제시하는 현자(賢者)는 아니다.

6. PR실무자는 시간을 잘 관리하는 일꾼이다.

7. PR인은 기획력이 뛰어나야 한다. (생각이 잘 정돈되어야 한다.)

8. PR은 창조적인 문제해결(problem-solving)과 연관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은 선천적인 것이 아니라 후천적으로 연마 되어 지는 것이다.

9. PR업계에 첫 발을 들여 놓은 사람은 필히 자신을 위한 스승을 찾아라. 이러한 스승은 그 초보PR인을 위해 필요한 지속적인 학습을 지원하는 첫번째 상사이다.

10. 항상 PR인에게는 전문가로서의 명성이 따라다닌다. “네 뒤의 다리를 불태우지 마라. “(지난 당신의 직장과 업무의 명성이 항상 당신을 따라 다니게 된다.)

 

*************************************************************

 

Ten Tips for Prospective PR Professionals

kirk Hallahan

 

1. PR is principally a journalistic endeavor.

 

Successful professionals possess superb reporting and research, writing and editing, and production skills. To be successful today, you must keep apprised of the latest happenings in the world, and in the field in which you work by becoming a consumer of news.

 

2. PR is hard work.

 

While the job appears glamorous, the visceral excitement can fade. You should be in PR because you like the work — and like to work.

 

3. PR always involves some type of client relationship.

 

You might find yourself in an agency with outside, paying clients. Or, you might report to someone within your organization. Recognize that clients are people; their understanding, interest and appreciation for public relations can vary greatly.

 

4. PR results must be measured, whether i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terms.

 

Spell out your objectives — and obtain agreement in advance with clients about how your efforts are to be evaluated. While exposure is the goal of many programs, there are instances where limited or no communication might be the best course of action. Don”t confuse publicity with effective PR.

 

5. PR people don”t have a corner on wisdom, and don”t have all the answers.

 

Managers look to PR professionals for guidance in their area of expertise — communications, public and community opinion, and media relations. Your key responsibility is to know and to articulate affirmatively and persuasively the PR risks and opportunities to the client. However, sometimes other organizational imperatives must take precedence. Ultimately, however, it is the client who must decide!

 

6. PR practitioners must be great taskmasters of time.

 

PR is a labor-intensive activity when compared to advertising, which is capital-intensive. For most organizations, the primary PR expenditures are for the labor hours that go into a project. While your talent is what you have to offer, talent is often measured in terms of time.

 

7. PR people must be organized.

 

Successful PR professionals have honed their organizational skills–especially in setting priorities, planning, managing time, budgeting, and controlling torrents of paper and telephone calls. Prudent business practice requires obtaining written approvals on materials, and maintaining orderly records of authorizations, expenditures and accomplishments.

 

8. Public relations involves creative problem-solving, a skill that is honed and not inherited.

 

Many creative solutions are variations on themes or techniques that have been used before. Thus, it”s valuable to study a wide range of PR programs conducted by others. Tap peers to gain insights about their experiences, to sound out your ideas, to develop cooperative programs, to obtain referrals, or simply to marshal morale support. Join at least one professional organization; subscribe to at least one professional publication.

 

9. As a first-time PR job seeker, your top concern should be finding a mentor–a first supervisor who will support your continuing education.

 

You will learn more in the first six months on the job than you did in college; that”s why graduation is called “commencement.” A first boss can be critical to your success by serving as a role model, and by providing the opportunities, challenges and other support you need to develop professionally. Initial salary concerns should be secondary in choosing between employers. Instead, focus on the opportunities for advancement and your earnings potential four to six year after employment.

 

10. Finally, remember that your professional reputation can precede you.

 

Always act accordingly, and burn no bridges behind you. Former employees, clients, peers and media contacts can–and will– turn up in unexpected ways in the future.

by 우마미 | 2006/12/03 18:37 | 옛글들(2000) | 트랙백 | 덧글(0)
11월 152007 0 Responses

내가 니꺼야? 난 누구한테도 갈수 있어…(FH케이스) (2000) 수정 | 삭제

내가 니꺼야? 난 누구한테도 갈수 있어…(FH케이스) (2000)
수정 | 삭제

내가 니꺼야? 난 누구한테도 갈수 있어…(FH케이스)  <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세계적인 홍보대행사 플라이쉬먼 힐라드가 현재 엉터리(?) 타이어의 리콜로 소위 말하는 위기관리의 정점에 서있는 클라이언트 브릿지스톤/화이어스톤을 떠났습니다.

 

일반적으로 대행사가 위기중에 클라이언트를 떠나는 것은 정말 흔치 않는 일입니다. 그냥 평시에도 클라이언트를 떠난다는 것은 우리나라 현실에는 상상도 못하지요.

 

그이유는 그렇습니다. 아시다시피 브릿지/화이어스톤 이 회사는 타이어를 만드는 일본회사입니다. 세계적인 비지니스를 하면서 자신의 문화적 전통과 아집을 버리지 못하는 가장 비PR적인 국가가 바로 일본과 한국이 아닐까 합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하여튼 일본회사입니다.

 

마구 리콜이 일어나고 그 여파가 법정과 정치권에까지 퍼지는 이때, 위기관리의 주도권은 스톤사의 변호사들이 장악을 하였고, 스톤사의 경영층은 결코 대행사의 위기관리 전략에 대하여 관심을 두지않았다고 합니다. 아래의 글을 보면 그들이 일본인들로 부터 이해받지 못했다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그들이 FH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처럼 스톤사의 타이어를 이용하던 소비자들과 다른 많은 공중들은 스톤사를 이해하지 못할 것입니다.

 

일본인들과 우리가 많이하는 “노코멘트”를 남발하기만 했다는 군요..

 

대행사들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자신회사의 명성(Reputation)을 클라이언트에게서 상당부분 부여 받습니다. 서브를 하고 있는 클라이언트의 수준과 명성이 그대로 전이 되기도 하지요.

 

그런의미에서 스톤사는 FH가 리테인하기에는 어울리지 않는 “한심한” 덩치큰 바보였다는 생각이 듭니다. Professional Fee를 받고 그냥 이름 그대로의 명성에만 만족하는 대행사가 아니라, 적극적으로 자신들의 프로페셔널리즘을 수호하려는 FH의 결단이 참 부럽습니다.

 

스톤사의 문제점은 FH이전에 버슨 마스텔러(BM)에게도 결별을 당한 그자신에게 있다고 보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많은 관련인들이 왜 스톤사를 떠나는 지 물어 보는 와중에도 꾿꾿이 클라이언트의 이야기를 아끼는 대행사들이 바로 그들이었습니다.

이는 그들이 비지니스를 알기 때문입니다. 윤리이전에…

 

PR에 관해 저급한 (자기회사의 덩치에 비해)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는 기업들은 최소한 대행사에 의해 일차적으로 Reject를 당해야 한다고 봅니다. 그래야 우리 가엾은 공중들이 속고 가슴아파하는 현실을 방지할 수 있으니까요. 또 그렇게 하고 옆에서서 모르는 척 하는 지금의 우리 대행사 현실을 극복할 수 있을 테니까 말입니다.

 

아무튼, 클라이언트에게 충심을 인정받지 못한 전문인 집단이 클라이언트를 떠났습니다. 결연히. 그리고는 아무말도 하지 않는군요.

 

옜말에 인자는 자신을 알아주는 사람에게 목숨을 바친다고 했나요?

우리나라에도 클라이언트를 위해 목숨을 바치는 에이젼트들을 보고싶습니다.

 

아래의 글은 그와 관련한 기사입니다.

그럼 홍보!

****************************************************************

Fleishman-Hillard Drops Firestone in Mid-Crisis

 

ST. LOUIS, September 6;Fleishman-Hillard has resigned as public relations counsel to Bridgestone/Firestone, becoming the second public relations firm to ditch the tiremaker in the past two months. Burson-Marsteller, which had handled Firestone PR, resigned a few weeks before the Japanese-owned company announced a recall of potentially dangerous tires.

 

We resigned of our own accord because it became evident that we could no longer be of service to Bridgestone/Firestone,” said Dave Senay, general manager of Fleishman-Hillard in St. Louis. “Beyond that, it is company policy that we don’t discuss details of client relations.”

 

Firestone spokeswoman Christine Karbowiak confirmed the split but also declined to elaborate and did not say whether a new agency would be appointed.

 

At least one other agency that considered pursuing Firestone as a client had an explanation for the divorce, however. Said its president, “The lawyers are running the show. There’s no cooperation from management, no understanding from the Japanese, and a ‘no comment’ attitude. Fleishman seemed to be offering the right advice, but it was being ignored. After a while, that just makes the agency look bad. I don’t blame them for getting out.”

 

It is unusual for an agency to resign in the middle of a crisis, but most industry observers said an agency had no alternative but to step down if its counsel was not being followed.

 

While neither Burson-Marsteller nor Bridgestone/ Firestone has offered an explanation for the earlier split, some industry observers have suggested that since B-M works for Ford there was a potential for conflict. That conflict has become more obvious as Ford has become increasingly critical of Firestone and its handling of the crisis.

by 우마미 | 2006/12/03 18:36 | 옛글들(2000) | 트랙백 | 덧글(0)
1 288 289 290 291 292 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