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만

9월 242009 Tagged with , , , , , 4 Responses

CEO 트위팅 vs. 위기

또 인천지검 특수부(부장 이경훈)는 해군 고속정 엔진을 납품하면서 가격을 부풀렸다는 단서를 잡고 두산인프라코어의 인천 동구 화수동 본사와 공장, 서울사무소, 전산센터 등 4곳을 22일 압수수색해 해군에 제출한 입찰서류 등을 확보했다. [동아일보]













CEO 비롯한 Top
Management

트위팅을
하는
것이
과연
기업
위기관리에
있어
실이냐
득이냐
하는
논란이
있는

사실이다. 실무자들의 시각에서는 CEO께서 하나의 POC 만들어 운영하시는 것이 업무가 하나 늘어난 같아 마음이 편치가 않다. 특히 위기가 발생했을 받으실 개인적인 상처(?) 또는 타격을 내심 우려하기도 한다.

두산인프라코어
박용만회장님께서
트위팅

시작하셨을
때도
많은
홍보담당자들이
향후
위기

어떤
대응과
반응들이 그 공간에서 목격될지에
대해
상당히
관심을
기울였었다.


해당
기업에
위기가
발생했고, 이에 대한 박회장님의 트위팅 태도와 메시지들에 관심이 쏠린다. 흥미로운 트위터러들의 반응 또한 이색적이다. 박회장님의 포지션과 핵심 메시지들이 공유되기 시작했다. 또한 이전과 분명 다른 매체 그리고 레토릭이다.


케이스를
기반으로
기업
매니지먼트의
트위팅과
위기관리의
역학적인
관계를
한번
들여다

필요가
있겠다. 같은
케이스가

나올

있을는지
궁금하고, 다른 CEO들은 이를 어떻게 보시고 계시는지 궁금하다.

요약을
하자면매체가 달라서 이런 결과가 발생되는 것인지 아니면 사람이 달라 결과가 다른 것인지 궁금하다는 거다. 매우 궁금하다.


1. 위기발생직후
팔로어들의
위기발생
고지와
걱정에
대한
답변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아직
완전한
상황파악이
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포지션,
개선의지
표현
포함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상황파악
완료

사과표현과
원칙에
의한
해결
강조

사용자 삽입 이미지

7월 272009 Tagged with , , , 0 Responses

커뮤니케이션 세대 차이는 항상 존재한다

기업이나 조직에서 위로 CEO와 아래의 실무자간의 세대 차이는 항상 존재하기 마련이다. 그 차이라는 것이 좋다 나쁘다를 떠나 생물학적 세대 차이를 뜻한다.

현재 대기업에서 소셜미디어 커뮤니케이션에 관심이 있고 관련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마련하고 있는 실무자들은 보통 70년대-80년대생들이다. 그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대해 보고를 받으시는 임원분들은 50-60년대생이다. 마지막으로 그 시스템을 통해 PI를 진행하시거나, 직원 또는 외부 이해관계자들과 커뮤니케이션을 실행하시는 CEO 분들은 일부에는 60년대 초반 출생자들도 계시겠지만, 대부분은 40~50년대 생이시다.

문제는 크게 40년정도의 세대차이를 어떻게 극복하면서 공유된 커뮤니케이션관과 실행 마인드를 수립하는가에 대한 도전부분이다. 오늘날 노쇄하신 CEO의 커뮤니케이션 마인드와 가젯에 대한 이해도에 한숨을 쉬는 대부분의 80년대생들도 40년후 당시 인기가 높은 최신 가젯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하라 하면 그들도 동일한 안타까움을 경험할 것이다.

그게 본능이고, 자연스러움이라고 생각한다.

어짜피 기업 커뮤니케이션이나 조직 커뮤니케이션은 인간으로서 자연스러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이나 니즈에 기반하지 않는다. 모든 CEO들이나 VIP들은 연출된 커뮤니케이션이 기반이되는 것이 기업이나 조직 측면에서 안전하고 발전적이다.

기나긴 세대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가젯의 낯섬과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의 당혹스러움에도 불구하고 열정을 가지고 커뮤니케이션을 하시는 일부 시니어 VIP들을 존경하고 픈 이유가 여기에 있다.

방금전 두산 인프라코어 박용만 회장께서 트위팅 [









http://twitter.com/Solarplant

]을 하시고 계시는 것을 발견하고, 큰 감명을 받았다. 그것도 고스트 트위팅이나 일방향적인 트위팅이 아니다. 국내인들과는 물론 외국인들과도 트위팅을 한다. 일부 유명인들 보다 훨씬 실질적인 파워 트위팅을 하고 있다.

박회장께서는 55년생으로 현재 55세다. 55년생으로 대표적인 CEO들은 미국의 빌게이츠와 스티브잡스가 있다. 지금까지 나는 이들의 55살과 한국의 55살이 다르다고 생각해 왔는데, 박회장의 트위터를 보고는 ‘why not?’하게 됬다.

이런 세대차이를 극복한 CEO들이 더욱 더 많아 지길 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