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상의 모든 위기에는 일정한 형성 법칙이 존재한다. 이 법칙이 존재하는 이유는 위기가 발전하는 방향과 위기에 대응하는 방향이 서로 철로길 처럼 평행을 이르기 때문이다.
먼저 위기가 발생했다고 가정을 해보자.
위기 위기관리 주체 대응
——————————————–
발생 ——– 위기 상황 파악 (놀람, 부인)
전개 ——— 위기 발전 추이 파악 (회피욕구)
성장 ——— 위기 대응 전략 및 방식 논의 시작 (분노, 흥분)
폭발 ——— (급박하게) 위기 대응 실행 (체념, 기원)
연속폭발 ——- 위기 전략 재 점검, 실행 방식 수정 (다시 흥분)
대폭발 ——– 사과/해결책 발표 (완전 체념)
———————————————
재미있게 우리 아이에게 종기가 낫다고 가정을 해보자
증상 아빠의 대응
————————————————–
팔등이 빨갛고 가려움 —— 약국에 가서 피부약을 사서 발라 줌
약간 부풀어 오름 ———- 피부약을 바꾸어 보거나 병원에 데려감
아주 빨갛게 부풀어 아픔 —- 분명히 피부과에 아이를 데려 감
—————————————————
아이의 팔등에 종기가 나서 고름이 차고 그 고름을 방치해서 고름이 터져 흐르고, 또 그 자리가 감염이 되서 더 큰 종기 자국이 생기고,,,하는 것을 두고 보는 부모는 없다. 맨위의 위기 대응 프로세스와 아래 아이의 종기 대응 프로세스의 차이는 ‘대응 실행(개입) 싯점’의 차이다.
왜 위기 대응 실행이 그렇게 느리게 시작될까?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일반적 원인들은 다음과 같다.
1. 상황파악이 잘 안되는 경우
2. 이 상황에 섯부르게 개입 했다가는 안되겠다 하는 두려움
3. 그냥 지나가겠지 하는 안이함
4. 왜 우리가 나서야 하는 가에 대한 의문
5. Guilty 의식
일부 전문가들은 위기요소를 잘 asessment를 해서 ‘이 위기가 어느정도까지 성장할 것인가?’를 파악해 그에 적절한 대응을 실행하라고 조언한다. 그러나 현실에서 이러한 crisis assessment는 사실 불가능한다. 모든 변수를 미리 예상하고 통제한다는 것이 불가능 하기 때문이다. 위기관리에 있어 과학/수학적 대응에는 현실적 제한이 따른다.
성공하는 위기관리에는 대응 실행의 속력이 핵심이다. 위기 전개 말기에서 성장 초기에 개입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물론 정확한 사실 판단하에 위기관리 전략에 기반해야 하고, 정확한 포지션과 메시지들 그리고 해결방안으로 무장해야 한다.
위기를 대비하면서 우리가 포커스를 맞추어야 하는 것은 이 반응 시간을 얼마나 줄이면서, 정확한 전략, 포지션, 메시지, 대응방안을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는지를 고민하는 것이다. 위기 대비 시스템의 핵심은 여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