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

3월 302009 Tagged with , , , , , 4 Responses

준비하고 연습한 인터뷰

특히 이 대통령은 북한 체제 붕괴 시와 관련된 집요한 질문이 쏟아졌지만 원론적 수준의 답변을 내놨다.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대규모 주민 탈북사태 ▶중국의 북한 차지 가능성 등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문에 이 대통령은 “최후의 목표는 평화적으로 통일되는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북한에 어떤 일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중국에 의해 점령된다든가 하는 일은 상상할 수 없다”면서
“여러 시나리오를 예측할 수 있으며, 우리는 항상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북한의 유고 시에는 미국·중국·러시아·일본
같은 국가들과 밀접히 협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북한의 유사시 시나리오와 관련해 구체적인 행동계획을 묻는 질문이
다시 이어졌지만 그는 “가정할 수는 있지만 당장 일어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만 했다. FT는 다시 한 번 “어떤
이유에서든 북한에 급변 사태가 발생했을 때 남북 간 통일이 해법이 될 수 있느냐”고 물었지만 이 대통령은 “이 시점에 북한이
붕괴된 상황을 가정해 언급하는 것은 북한을 자극할 수 있으므로 안 맞는 것 같다”고 선을 그었다. [
중앙일보]

Good Job. 잘 하셨다. 확실히 극도로 민감한 인터뷰를 위해서는 연습을 하신 것 같다.

잘 하신 부분들 정리:

  • 문제가 어려울 수록 원칙에 입각: 집요한 질문이 쏟아졌지만 원론적 수준의 답변
  • 항상 under control하고 있다는 점 강조: “여러 시나리오를 예측할 수 있으며, 우리는 항상 대비”
  • 대외협력/협조를 통한 문제해결 방식 표현: “국가들과 밀접히 협력할 것”
  • 가정에 근거한 질문에 대한 적절한 답변: 질문이
    다시 이어졌지만 그는 “가정할 수는 있지만 당장 일어나지는 않을 것”
  • 가정에 근거한 질문에 대한 적절한 답변(Variation): FT는 다시 한 번…물었지만 “이 시점에 북한이
    붕괴된 상황을 가정해 언급하는 것은 북한을 자극할 수 있으므로 안 맞는 것 같다”

준비하고 준비하고 준비하자. 연습하고 연습하고 연습하자.

이정도면 안심이다.

3월 232009 Tagged with , , , 0 Responses

FT답지 않은 기사다

소비심리가 꽁꽁 얼어붙은 경기침체기에 유독 속옷이 잘 팔리고 있어 눈길을 끈다고 영국 일간 파이낸셜 타임스(FT)가 23일
보도했다. 베르딕트 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온라인 쇼핑과 식료품을 제외한 소매품의 판매는 전반적으로 4% 감소하는 반면 속옷 판매는
0.8%로 소폭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신문은 전했다. 독특한 디자인의 란제리 전문업체 ‘아장 프로보카퇴르(Agent
Provocateur)’의 개리 호가스 사장은 2008 회계연도에서 8%의 판매 성장을 기록한 데 이어 올해도 추가 성장을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
연합뉴스]



보도자료를 내려면 어느정도 주된 시장의 트렌드를 반영해주어야 한다. 다들 좌측 통행을 하는 복도에서 혼자 우측 통행을 하는 선수는 어떻게 보면 차별화로 비추어 지겠지만, 대부분 좌측통행하는 선수들로부터 ‘(튀기위해) 무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게 된다.

위의 기사를 보면 란제리 업체 아장 프로보카퇴르가 베르딕트 리서치 회사에게 리서치 발주를 했거나 아니면 란제리 회사가 기존 베르딕트 리서치 자료를 인용해서 자사의 판매 결과를 퍼블리시티 한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기사의 제목처럼 ‘불황엔 야한 속옷이 잘 팔린다’는 결론과 진단을 끌어 내기에는 너무 일반성이 없다는 거다. 영국의 란제리 회사 하나가 장사가 잘 된다는 사실을 가지고 그런 결론을 내는 것은 유력지이며 권위지인 FT 답지 않다는 거다.

또 나아가서 이런 기사를 참고해 책을 낼때 인용을 하거나, 술자리에서 안주꺼리로 스토리를 전파하는 사람들도 깊이 있는 생각을 하지 않는다는 거다. 사실 깊은 생각을 할만한 주제는 아니지만…

3월 132009 Tagged with , , , , , , 2 Responses

아직 좀 이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지만 최근 정부가 외신을 상대로 ‘한국 제대로 알리기’에 나서면서 FT의 목소리도 바뀌었다. 10일자 3면에는 ‘한국 국회의원들이 카메라 앞에서 쇼하는 동안 개혁법안은 쌓여 간다’는 기사로 한국 정부의 어려움을 소개했다. 7일자에는 “한국 정부의 ‘그린 뉴딜’ 정책이 친환경 일자리 창출에 앞장서고 있다”며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 정책을 칭찬하기도 했다. 이 같은 변화에 대해 보고받은 이 대통령은 “외신에도 꾸준히 홍보를 하니 국익에 도움이 되는 기사가 나오지 않느냐”며 홍보 관련자들을 격려했다고 한 참석자는 전했다. [중앙일보]

외신대상 홍보와 관련해서 자꾸 딴지를 건다고 생각할 지도 모르겠지만, 언론관계는 ‘Done’이 있을 수 없다. 항상 ‘Doing’이다. 그래서 언론관계 실무자들이 매일 매일 공허한지도 모른다. 정부에서 최근 FT의 한두가지 긍정적 기사들에 고무된 듯 하다. 하지만, 대통령께서 말씀 하신 것과 같이 ‘꾸준히’하지 않으면 도로아미타불이다.

흔히 기업들도 한두건 치고 빠지는 수준에서 자신들의 퍼포먼스에 자위하고는 하는데, 언론관계의 근본은 ‘좋은 뉴스 꺼리’를 ‘끊임 없이’ 제공하고, ‘커뮤니케이션 하려는 노력’에 있다. 과연 우리정부가 외국언론들에게 진정한 서비스맨십과 커뮤니케이션 철학을 현재 가지고 있는지를 이상황에서는 좀더 신중히 점검하고 개선해야 하지 않을까 한다.

아직 결과물 일부에 감동하기는 이르다는 이야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