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and

7월 242009 Tagged with , , , , , , , , , 1 Response

클라이언트들에게 진정 감사하는 이유

비지니스를 시작하면서 다양한 클라이언트들을 만나게 되는데, 클라이언트 한분 한분을 바라보면서 각기 여러가지 느낌들을 받게 된다. 그러면서 드는 생각이 “누가 우리의 진정한 타겟 고객인가?”하는 아주 기본적인 마케팅 101이다.


많은 PR대행사 사장님들과 만나보면 각자 자신만의 고객 풀에서 헤엄치고 계시는 모습들을 볼 수 있다. 그 풀의 물이 빨간색이건 파란색이건 핑크빛이건 각자 헤엄치는 풀의 색깔이 있다는 거다.

우리 회사의 클라이언트관은 세가지다.

  • 클라이언트와 우리 컨설턴트들이 즐기면서(enjoyable) 일할 수 있어야 한다.
  • 프로젝트를 진행 한 후 개선된 결과를 가지고 우리가 스스로 자랑스러워(proudable) 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여야 한다.
  • 모든 클라이언트 히스토리는 우리 브랜드(brandable)에 도움이 되어야 한다.


이는 지금까지 나의 클라이언트 서비스 경험상 가장 중요했던 가치들을 모은 것이다. 경험상 클라이언트와 에이전트간의 회의나 업무 그리고 결과가 서로에게 아주 흥미진진하고 기대되었을 때 그 결과는 항상 좋았다.

또 그 좋은 결과는 내 커리어 평생을 두고 자랑스러움으로 남아있다. 다른 포텐셜 클라이언트들도 그 즐거웠던 퍼포먼스 히스토리에 매력을 느끼면서 다가왔다. 그리고 그러한 일련의 결과물들은 지속적인 capitalization을 통해 곧 브랜드가 되었다.

아무리 큰 예산을 제시하는 클라이언트라고 할찌라도 에이전트는 이런 질문을 먼저 스스로에게 해야 한다.

“우리가 이 클라이언트와 함께 일을 할 때 즐겁게 할 수 있을까?”


만약 1%라도 자신이 없다면 진행 하지 않는 것이 클라이언트를 위해 더 좋다. 클라이언트를 보고 일하는 에이전트와 클라이언트의 예산을 보고 일하는 에이전트사이에는 분명 다름이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AE시절부터 “클라이언트 서비스의 핵심은 케미스트리(chemistry) 관리”라고 항상 다른 AE들과 후배들에게 강조했었다. 하루 하루 즐겁게 일하면서 클라이언트를 위해 조금 더 조금 더 해주고 싶은 자발적 마음이 생겨야 클라이언트에게 훌륭한 서비스가 제공자가 되는 거다.

서로가 즐기기 위해서는 서로간의 개념이 상통해야 하고, 전문성이 맞닿아야 한다. 이는 최초부터 클라이언트 자신이 어떤 서비스를 원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확하고 확실한 개념이 스스로에게 존재해야 진정한 케미스트리가 생길 수 있다는 말이다.

우리 컨설턴트들이 각자 평생  5-6개의 즐거운 클라이언트들과 ‘서로를 존중하면서 지속적인 도움‘을 주고 받을 수만 있다면 다른 무엇도 부러울 것이 없겠다.

프로페셔널 에이전트란 진정 그래야 한다고 믿는다.

이게 함께 즐겁게 일하고 있는 우리 클라이언트들에게 항상 감사하는 이유다. 

11월 102008 Tagged with , , , , 0 Responses

McCain vs. Obama as Branding

McCain의 Branding을 한번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은 insight들이 얻어진다.

1. 성조기, McCain, Country First 3개 의미를 같은 동의로 설정하려 노력 (상대적으로 consistency에 취약)
2. 부분적으로 Navy 모자와 베테랑, 성조기 백그라운드등을 보조로 활용
3. 연설 또는 미팅등에서 주최측의 브랜드와 일부 compromising하면서 Brand Flexibility를 나름대로 가져감. (카네기멜론 등 대학교 초청강연시 대학 로고 수용, 일부 주에서의 Town Meeting 로고를 수용)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면에 Obama의 경우는 다음과 같은 Insight를 준다.

1. Change라는 단일 Grand Key Message를 Consistent 하게 활용
2. 그밖에 거의 모든 커뮤니케이션툴에서 폰트, 색감, 디자인 구성측면에서 Consistency를 지키고 compromising 최소화. 보조 툴 최소화.
3. Consistency와 Integration 극대화 (거의 모든 사진에서 키 메시지 노출)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브랜드 교과서에 모두 나오는 이론인데…실행하기는 힘들다. 항상 승자의 이론과 실행만이 남게 되는데…항상 살아남는 이론과 실행결과만이 최선일까? 아무튼 많은 insight를 주어 감사한다. Obama.

11월 062008 Tagged with , , , 3 Responses

Flexible Brand Management with Consistency

Rohit의 Influential Marketing Blog에서 버락 오바마의 브랜드 정체성에 대해 상당히 매력적인 포스팅을 접했다. 최근 브랜드에 대해서 Consistency와 Integration을 통한 Capitalization을 이야기하고 있는데…매우 좋은 케이스다.

오바마는 자신의 선거용 브랜드를 상당히 flexible하게 활용했다. 하지만, 그 안에는 consistency가 분명 있다. 이러한 전략적인 CI 운용이 보기에는 쉬워보이지만, 실제로 실행을 하기는 너무 힘들다. 브랜딩을 진행하는 실무자는 거의 종교적인 수준에서 자신의 브랜드를 보호하고, 일관성과 통합성을 발휘해야 한다.

예를들어 우리나라 지자체들의 브랜드들을 한번 보자. Consistency나 Integration을 이야기하기가 참으로 민망하다. 여기저기 로고를 붙여 놓는것이 브랜딩이 아니다. 뭐 그렇게 슬로건도 많고, 다양하고, 로고들도 갖가지인지…지자체 자체의 실행 프로그램들에 적절히 extension 되지도 않는다. 그냥 브랜드는 로고일 뿐이며…한번 만들었으니 됬고…그냥 그걸로 만족인 듯 하다.

Rohit은 이번 오바마의 CI 관리에 대해 다음과 같이 호평했다.

Looking back, there were many marketing lessons that any business could
learn from Obama’s campaign, but perhaps the strongest is the power of
having a strong AND shareable brand. Obama’s logo and brand identity
were consistently used across all his communications, but also treated
with a flexibility that would drive many holders of a brand identity
completely mad.

  멋지지 않은가. 이론이나 꿈을 현실화 하는 것.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바마 캠프에서 사용했던 온라인 버튼 광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오바마 지지자들이 만들어 공유한 브랜드들이다. 위에서 가장 튀는(?) 브랜드가 Republicans for OBAMA다. 청색 배경을 쓰지 않고, 백색으로 처리했고, Republican logo를 차용했다. 위트다.

10월 022008 Tagged with , , , , , , 10 Responses

Team Manager Training

Everlasting brand로서 CK의 성장과 브랜딩을 위해서 어제 하루 TMT(Team Manager Training)을 가졌다. 각 팀장들이 Pecha Kucha 프리젠테이션을 했다. 주제는 ‘My Strongests and Weakests’

그들의 프리젠테이션을 들으면서 느낀 흥미로운 insight들은 그들이 내세운 강점들과 단점들이 서로 모순되어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나는 팀내 AE들에게 Empower를 폭넓게 합니다’라는 강점이 있다고 내세우지만…단점 부분에서는 ‘나는 데드라인 마인드를 좀 더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하는 식이다.

데드라인을 지키지 못하는 것은 시간관리를 잘하지 못한다는 것이고, 업무나 프로젝트 분담과 성과 측정이 제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뜻이잖은가. 만약 제대로 empowerment를 폭넓게 제공한다면 데드라인 관리가 안 될 이유가 없는 거다. 이 케이스를 비롯해 여러 강점과 단점들을 분석해 보면서 어디에 문제가 있는 것인지 한 번쯤 생각해 보는 기회가 됬다. (아마 태어나서 처음 이런 주제의 프리젠테이션을 해 보았겠다)

CK가 향후 100년을 어떻게 성장해나가야 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방향을 우리가 강화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고민하는 시간이었다. 2주 후에는 CK의 Brand Proposition과 향후 Branding Strategy 논의를 위한 세션을 갖는다. Local PR Agency Brand로서 everlasting branding이 가능할지…우리 임원들과 함께 깊이 고민해 보고자 한다.

TMT slide by James Chung
Leadership The Power Works
# 다 좋은데 몇가지 이 slideshare 서비스가 맘에 들지 않는 부분 – 폰트가 자주 깨진다. 고급 폰트는 사용하지 말라는 이야긴가?, 슬라이드 좌우 및 하단이 잘린다. 디자인을 이 서비스에 맞출수도 없고. 참. 오리지널 폰트는 멋진 데 바꾸고 나니 영 아니다….문장도 늘어나고…일부 글자들도 깨졌다. 참….

Leadership Training

View SlideShare presentation or Upload your own. (tags: pr leader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