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재해 발생시 스마트한 정치인이라면 기본적으로 감안해야 하는 Crisis Communication Tips (by TJ Walker). 하나 하나 들어보면 별로 창조적이거나 튀는 주문이 아니다. ‘(정치인들이 위기시) 마땅히 해야 할 것을 하는 것이 위기관리고,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이다’는 말을 다시 한번 기억하자.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지 않는 것이 문제다. 그러니 위기시 많은 사람들이 힘들고 고통스럽다.
정치인
코골며 자는 정치인: 한국에서 자문이 필요한가?
필자가 하고 싶은 얘기는 한국에서는 ‘전문가의 충고’를 신뢰하지도, 존경하지도, 높이 치지도 않는다는 것이다. ….(중략)…그 결과 전문가의 자문은 그리 중요하지 않았다. 정부나 기업이나 내부 목소리만 신뢰한다. 외부의 자문은 큰 그림을 그릴 때 정말 필요한데, 실제로는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할 때나 활용한다. 그러니까 외부 전문가들 쪽에서도 전체적인 그림을 그려주는 대신 고객의 요구에 단순 반응하고 말아 버린다. 내 친구의 이혼을 맡은 변호사처럼 말이다. 혹은 홍보회사 하는 내 친구처럼, 고객의 ‘브레인’이 아니라 시시한 손발 노릇을 해주는 데 그치고 만다. [조선일보]
앤드류 새먼 더타임즈 서울 특파원의 평가다. 외국인이 본 한국인들의 모습이 정확하다.
경험상으로도 지금까지 성공적이었던 모든 프로젝트들은 클라이언트의 해당 프로젝트 담당자가 CEO 또는 조직상부와의 완벽한 지원을 받는 경우들이었다.
클라이언트사에서 비록 해당 프로젝트가 매우 중요하다며 예산을 할애하더라도…그 담당자가 사원, 주임, 대리, 과장 정도가 핸들링 하는 경우에는 일을 해도 너무 힘들다.
특히 재미있는 것은 앤드류가 지적했던 ‘코골며 자는’ 정치인 이야기다. 여기에 본질이 있다. 정치인들에게는 자문이나 그 내용 자체는 사실 핵심이 아니다. 그런 자문들을 동원하는 그 과정과 겉 모습이 전부다. 당연히 자문 내용에는 별 관심이 없을 수밖에 없다.
나도 여러 정치인이나 정부관료들 앞에서 아주 중요할 것 같은 이야기를 해 보았지만…그때마다 그들의 표정을 보면서 ‘아…이 자체가 정말 중요한 것은 아니구나!’하는 인사이트만 얻고 돌아섰다. 일부 교수들이나
업계 전문가들은 이런 그들의 눈높이에 익숙해져 아주 가벼운 자문들을 가벼운 마음으로 마구 찍어대는 모습까지 보게 된다.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위해…다들 고생이 많다.
그들은 왜 그럴까? – 커뮤니케이션의 의도
항상 일간지와 온라인을 떠들석 하게 하는 ‘설화(舌禍)’들을 가만히 들여다 보면 참 재미있는 현상들이 공통적으로 존재한다. 사실상 말로 여론을 들끓게 하는 사람들은 유명인인 경우들이 대부분이다.
대통령부터 시작해서 정부관료, 정치가, 연예인, 스포츠스타, 전문가 등등 모두가 사회적 지명도가 높고, 또 그들이 언급해 설화를 일으킨 주제와도 관련성이 밀접한 부류들이다.
전문가들은 ‘공인은 누구나 연출된 커뮤니케이션을 해야 한다‘하는데 그말이 맞다. 실수처럼 보이거나 너무 극단적인 이야기 아닌가 할 만큼의 메시지들도 ‘연출‘이 되어 있다는 데 주목을 해야 한다.
얼마전에도 포스팅을 몇번에 걸쳐 했었지만…상식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는 ‘황당한 이벤트‘를 손수 벌이는 정부관료는 왜 그렇게 커뮤니케이션을 해야만 했을까 하는 답은 ‘연출‘이다.
사전에 기획이 되어 있는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이야기다.
문제는 타겟 오디언스를 누구로 세팅하는가 하는 것인데…그 해당관료의 타겟 오디언스는 극소수 특정 그룹이었던 거다. (단 한 사람일 수도 있다) 그 타겟 오디언스들만을 대상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이벤트였고, 해당 오디언스를 행복하게 했기 때문에 그 커뮤니케이션은 성공한 것이었다.
일부 정치가들이 여론을 들끓게 하는 황당한 언급을 하는경우에도 마찬가지다. 그들이 소통하기 원하는 타겟 오디언스는 분명 그들의 머릿속에 존재한다. 99%의 공중들에게 욕을 먹을만한 메시지들도 만약 그들이 관심을 두는 타겟 오디언스들만 만족시킬 수 있다면 실행을 하게 마련이다.
자꾸 반복적으로 설화들을 일으키는 것으로 유명한 정치인들이나 관료들의 경우에도 그 연출의 의도가 엿보인다. 정기적으로 사회적 여론을 들끓게 하면서 설화를 계속 반복 반복하는 것이 실수로 보이지만, 사실은 노출(exposure)을 꾸준히 유지하면서 SOV(share of voice)를 차지하기 위한 연출이라는 뜻이다.
연예들과 정치인들은 동일한 연출 동기를 가지고 있다. 눈에 보여야 하고, 기억되어져야 하고, 언급되어져야 스타성이 지속되기 때문이다. (가능한 타겟 오디언스들 사이에서…)
그런 일부 유명인들의 메시지에 공중들이 화를 내고, 비난을 하고, 트위터나 블로그를 통해 반박을 하고 하는 것이 그들에게는 모두 기획되어 있던 (예측되어) 당연한 효과일 뿐이다. 무시할 만한 효과다.
그러나 기업은 다르다.
비지니스를 성장시키면서 영속화해야 하는 기업은 그렇게 커뮤니케이션 하면 안된다. 타겟 오디언스 세팅도 달라야 하고, 커뮤니케이션의 반향에 대해서도 항상 민감해야 한다. 되도록 재미없게 커뮤니케이션하고, 예측가능한 답변을 내놓고, 기품과 합법성이 동시에 존재해야 한다. 전략에 기반하되 단기전략 보다는 중장기적인 것에 관심을 더 두어야 하고….무엇보다도…기업의 명성에 신경을 써야 한다는 거다.
PR과 위기관리가 명성관리로 불리우는 이유가 그렇다.
왜 하냐 이거다
서울에 진입해서도 노 씨 차량은 교통신호도 무시하 고 올림픽대로와 인근 지역을 넘나들며 취재진을 떼어 내기위해 안간힘을 썼지만 추 격은 자정을 넘어 12일 새벽까지 이어졌다. 숨 막히는 질주는 12일 오전 1시30분 체어맨 차량이 강남구 일대를 돌다 도곡동 모 아파트 지하주차장으로 들어가자 끝나는 듯했다. 하지만 기자들이 탄 차량이 아파트 경비원들의 저지를 뚫고 지하 주차장 안으로 진입하자 체어맨은 주차장 안을 뱅글뱅글 돌며 지루한 추격이 이어졌다. 20여 분 하염없이 주차장 안을 헤매던 체어맨은 결국 다시 아파트 단지를 나와 도곡동 일대의 도로를 다람쥐 쳇바퀴 돌듯 돌기 시작했고, 취재진도 놓칠세라 이 차량을 따라붙었다. 그런데 새벽 2시쯤 체어맨이 갑자기 ‘배회’를 마치고 일방통행 도로로 들어갔다. [조선일보]
항상 연예인들이나 정치인들의 취재진 따돌리기 프로세스를 보면서 드는 생각이 하나 있다.
이렇게 무리를 하는 것과 하지 않는 것간에 무엇이 서로 다를까? 어짜피 차량은 검정색 유리 태닝이 되어 있어 들여다 볼 수도 없고, 그 안에 탄 사람이 어디로 가던 다 알려질 것이다. (추후라도)
그럼에도 시속 200km로 달려 취재진을 따돌리거나…골목이나 아파트 단지에서 지루하게 운전을 해대는 이런 일이 결국 어떻게 다른 결과를 만들 수 있냐 하는거다.
연예인들이나 정치인들이 가끔 부정적인 이슈를 맞게되면 TV취재진의 카메라를 손으로 밀어내거나 손가락을 벌려 렌즈를 가리고 하는데…이것도 무슨 효과가 있냐 말이다. 손가락 사이로 자신의 얼굴이 이미 다 나가고 그 과정이 방영되는 데 무슨 목적으로 취재를 거부하는 듯한 포즈를 취하냐 이거다.
목적없고 효과없는 행동들을 왜 하냐 이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