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비맥주

12월 092008 Tagged with , , , 0 Responses

이해가…

동부증권 차재헌 연구원은 “매각 가격으로 거론된 6000억∼1조원을 투자할만큼 자금사정이 여유로운 기업이 많지 않다”면서
“하이트-진로와 진검승부를 하기 위해서는 2조원대 오비맥주까지 동시에 인수해야 하는데 현금유동성이 풍부한 기업이라 해도
경기침체기에 무리한 결정을 내린다면 상당한 재무적 부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주가에 부정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유력한 인수자로 거론되는 롯데의 경우 사모펀드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인수전에 나설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면서
“사모펀드를 중심으로 거래가 이뤄질 확률이 높고, 경영권 인수 후 2∼3년 후 재매각되는 수순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하이트-진로에는 호재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차 연구원은 “누군가가 OB맥주와 두산의 주류 경영권을 모두 인수해 2009∼2010년 대대적인 전쟁을 치르지 않는 한 하이트-진로의 입지는 점점 더 굳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파이낸셜 뉴스]

동부증권측의 보고서에는 참 흥미로운 부분들이 있다. 구태여 하이트-진로에게 호재가 되고 있다는 표현까지 쓴 이유가 참 궁금하다.

투자의견에서 해당사가 불투명성이나 변수들이 많으면 분명히 호재라는 결단을 내릴 수는 없는 것 아닌가? 여러가지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 부분도 있고…참 이상하다.

몇가지 보고 내용과 그에 대한 지적.

매각 가격으로 거론된 6000억∼1조원을 투자할만큼 자금사정이 여유로운 기업이 많지 않다?

바로 얼마전 사모펀드 MBK 파트너스는 두산으로부터 두산테크팩을 4000억원에 매입했다. 소위 말하는 stapled financing이라는 방식까지 동원하고 있는 차에 1조원이 없어서 두산주류를 매입하지 못할 것이라고 모든 포텐셜 비더들을 규정하는 이유가 뭘까? – 아마추어 투자자들이나 초급 기자들이 이렇게 생각한다면 오케이.

현금유동성이 풍부한 기업이라 해도
경기침체기에 무리한 결정을 내린다면 상당한 재무적 부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주가에 부정적일 것?

이 부분은 마치 새로운 기업이 이 시장에 들어오지 말라고 경고를 하는 듯 하다. 해외 사모펀드의 경우에는 최근상황이 좀더 이상적인 상황이 아닐까? 그리고 어짜피 바이 아웃하는 주체는 그렇게 무리하다는 생각을 하진 않는다.

누군가가 OB맥주와 두산의 주류 경영권을 모두 인수해 2009∼2010년 대대적인 전쟁을 치르지 않는 한 하이트-진로의 입지는 점점 더 굳어질 것?

이 내용이 가히 화룡점정이다. 마치 사람이 늙지 않는 이상 죽지 않을 것이다…라고 이야기 하는 것과 같이 아무 의미가 없다.

한번 계산을 해보자.

이 보고서에서 말하는 누군가가 하이트-진로와 대대적인 전쟁을 치룰 전열을 다듬으려면 얼마나 드는가를 계산해 보자. (Max)

오비맥주 2조 + 두산주류(소주) 1조 + 두산테크팩(소주 및 맥주 병) 4000억 = 3조 4000억 (최대)

2005년 하이트가 단독 기업 진로를 얼마에 인수했나? 3조 4천 100억 가량이었다. 물어보자. 진로 하나를 가질래? 아니면 오비맥주(OB Blue+Cass+Cafri+Budweiser)와 두산주류(처음처럼)+두산테크팩을 가질래? 해 보자는 말이다. 진로 기업 하나 값이면 원스탑 수직 수평 기업 결합이 가능하다는 말이다.

더구나 하이트-진로 전열의 중심이 어디인가를 보자. 진로의 오너 기업인 하이트 매출의 본가가 어디인가를 기억하자. 정확하게 롯데의 진원지와 일치한다. 영남시장에서 하이트와 롯데가 각자의 대중주를 가지고 경쟁한다는 변수가 어떻게 호재인가?

오비맥주가 영남지역에서 얻고 있는 시장점유율은 5-15%가량이다. 국내에서 두번째 큰 시장에서 90%가량을 하이트에 양보하고 있다. 그러면서 국내시장점유율 41%를 유지하고 있다. 롯데가 오비맥주를 인수한 후 이 영남시장에서 하이트 시장점유율 절반만 가져와도 하이트는 힘들다. 하이트가 힘들면 진로는 더더욱 힘들어진다.

이런 유력한 변수들이 하이트-진로에게 오히려 호재라니 이해가 안된다.
 

10월 242008 Tagged with , 3 Responses

BIG and BOLD Stunt

예전 오비맥주에서 일할 때 타코벨의 Publicity Stunt를 본따 몇가지 Big and Bold Stunt를 기획한 적이 있다. 만약 이번 월드컵에서 한국이 다시 4강에 들면 전국민들에게 오비맥주 한캔씩을 쏜다. 뭐 이런 개념이었다. 당시 기획을 하면서 여로 경로들을 통해 이런류 이벤트의 안전장치인 보험가입 가능성을 타진해 봤는데, 영국에 있는 모 보험사가 주로 이런류의 보험을 취급하고 있었다.

그쪽으로부터 우리의 스턴트에 대한 보험가입 가능성 타진 답변은 이랬다. “너무 변수가 많아 보험금 산정이 어려움. 불가능”

당시 회사내에서 하도 Big and Bold를 강조해 한번 야심차게 기획했었던 스턴트가 바로 물거품이 됬었다.

최근에 미국의 청량음료 Dr Pepper가 이런류의 스턴트를 진행했단다. 그런데 예상과는 달리 전국민에게 한캔씩을 제공해야 하게 됬단다. 조건으로 걸었던 GUNS N’ ROSES의 새앨범 Chinese Democracy가 11월말에 발매된다는 소식 때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부에서는 한마디로 Dr Pepper X됬다는 이야기들을 하는데…정상적이라면 이미 보험가입이 되어 있겠다. redemtion이 문제인데 이 부분도 제법 시스템을 갖춰 놓고 있는 듯 하다.

죽기전에 이런 Big and Bold한 스턴트를 한번 해 보고 싶다. “닥터 페퍼를 얼음에 채워둬~!” 소비자들이 이렇게 외치면서 행복해 하지 않나.

근데…왜 오비맥주는 안된거지? 보험회사가 인종차별을 하나…?  대행사가 귀찮았던건가…혹시? Dr Pepper 처럼 Ketchum을 쓸껄 그랬나…

9월 042008 Tagged with , , 0 Responses

M&A Communication – 부인

M&A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하면 혼돈(Chaos)이라고 볼 수 있다. 어떤 정보도 글자 그대로 정확한 것이 없다. 어떤 소스도 아주 정확한 정보를 알고 있다고 확신할 수도 없다. 따라서 어떤 메시지도 믿지 못한다.

이 바닥에서는 메시지의 신뢰도가 아주 적다는 게 특징이다. 돈이 걸린문제이기 때문에 극도의 보안과 물타기, 부인하기, 말장난이 판을 친다.

문제는 메시지의 균형이다. 어제 로이터의 보도와 그에 대한 국내 언론의 해석을 보면 상당히 분석적일 뿐더러 메시지의 실체(substance)들이 존재한다. (오비맥주에서는 실체가 뭐가 있냐고 하겠지만, 문제는 오디언스들이다. 오디언스들이 기사를 읽으면서 끄떡 끄떡하면 기자들은 만족한다.)

그에 비해 오비맥주측의 대응 메시지는 상당히 짧다. 실체(substance)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기사에서 균형을 맞추기 위해 quotation해 준 회사의 공식 메시지는 크게 나누어 다음과 같다.

  • 외신보도는 사실과 다르다.
  • 추측성보도다.

이와 관련해 오비맥주 OOO 홍보팀장은 “외신 보도는 사실과 다르다”며 “매각 결정에 관한 연락이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한 임원은 “안호이저-부시 인수를 위해 자금이 필요할 것이라는 내용은 이미 여러 채널을 통해 알고 있었다”며 “오비맥주뿐 아니라 영국 법인도 팔고 테마파크도 판다는 얘기가 있었다”고 전했다. 그는 “오비맥주가 그런 와중에 매각 대상으로 추측된 것 같다”고 덧붙였다.[중앙일보]



이와 관련, 오비맥주는 “사실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오비맥주 고위 관계자는 “본사와 확인한 결과 사실이 아니다”며 “현재 오비맥주는 수출용 맥주 생산 기반 확충을 위해 광주공장 생산라인을 확대하는 등 투자를 늘리고 있는 상태”라고 밝혔다. [파이낸셜뉴스]



그러나 오비맥주 측은 이에 대해 “인베브 본사에 확인 결과 현재 시점에서는 명백한 오보라는 답을 들었다”며 매각 계획을 부인했다. [매일경제]



한편 오비맥주 관계자는 외신 보도에 대해 “인베브 본사로부터 매각과 관련해 아직 어떤 정보도 들은 바 없다”고 말했다.[한국경제]



그러나 오비맥주 관계자는 “인베브 본사에 확인한 결과 사실무근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경향신문]



오비맥주 측은 보도 내용을 부인하고 있다. 오비맥주는 3일 인베브 본사 명의의 보도자료를 통해 “매각 보도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OOO 오비맥주 정책홍보팀 전무는 “안호이저-부시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대규모 자금이 필요하다 보니 추측성 기사가 나온 것 같다”고 해명했다. [서울경제]

 

이번 대응 메시지를 2006년 오비매각설 관련 대응 메시지들과 비교해보면:

김 사장은 오비맥주 매각설에 대해 하고 싶었던 말이 많았다고 했다. 그는 “롯데그룹이 오비맥주를 인수한다는 루머는 이미 5년 전부터 남의 말하기 좋아하는 사람들에 의해 회자됐던 것”이라고 전제한 뒤 “최근 오비맥주의 대주주인 벨기에 인베브 사 경영진으로부터 오비맥주를 매각할 의사가 없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말했다.

“필요할 경우 인베브의 최고경영진이 방한한 뒤 오비맥주 매각을 부인하는 공식 회견도 열 수 있다는 뜻도 함께 전해왔다”는 말도 덧붙였다. 한마디로 인베브 입장에서 볼 때 오비맥주가 짭짤한 수익을 올리는 황금알 기업인데 굳이 매각할 이유가 없다는 것.[헤럴드경제, 2006. 9.15]

김준영 오비맥주 사장은 최근 일각에서 나오고 있는 롯데칠성으로의 매각설과 관련,“현재 (모회사인) 인베브는 오비맥주 매각 계획이 전혀 없다.”고 밝혔다. 김 사장은 13일 오후 기자간담회에서 “맥주사업이 돈되는 비즈니스여서 5년 전부터 얘기(설)는 많이 나왔었고, 또 외국계 은행들이 여기저기서 M&A 작업을 하고 있어 분위기 조성을 위해 소문이 만들어지는 것 같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광주공장 매각설에 대해서도 “많은 루머가 있지만 아직 결정된 것은 아무 것도 없다.”고 덧붙였다. [서울신문, 2006. 9. 15]

김 사장은 13일 기자간담회에서 “최근 흘러나오는 롯데칠성으로의 매각설은 이미 5년전부터 나온 이야기”라고 전제한 뒤 “맥주사업이 돈이 되는 비즈니스라서 외국계 은행들이 매각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소문을 만들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또 “롯데는 종합적인 주류 비지니스를 꿈꾸고 있는 것 같다”며 “이 때문에 맥주시장에 관심이 가질 수는 있겠지만 단순한 추측성 논리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김 사장은 “오비의 영업이익률이 35%로 모기업인 인베브 산하 회사를 통틀어 캐나다, 브라질 등에 이어 6위를 차지할 정도로 튼실하다”며 “우리가 빠진다면 인베브로서도 타격이 클 텐데 굳이 매각할 이유가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한국일보, 2006. 9.15]

김준영 오비맥주 사장은 지난 13일 서울 모식당에서 가진 기자들과의 만찬에서 “오비맥주는 인베브 전 세계 지사중 ‘감가상각전이익’(EBIDTA) 마진에 있어 상위 6위 업체에 들 만큼 큰 사업체”라며 “지난해 EBIDTA 마진이 2000억원, 캐시플로가 700억원 정도로 이런 알짜 기업을 인베브에서 매각한다는 것은 말도 되지 않는다”고 다시한번 강조했다. [머니투데이]

그는 “올해에는 EBIDTA 마진율을 35%로 보는데 이 정도를 유지하는 기업은 세계에서도 드문 일”이라며 “인베브가 ‘최대에서 최고로’(Biggest to Best)를 캐치프레이즈로 삼는데 한국(오비맥주)이 그 모델의 선봉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파이낸셜뉴스, 2006. 9.15]

그 당시에는 가능한 메시지의 실체를 만들려고 노력을 했었다. (사실 그만큼 단기간에 매각은 있을 수 없다는 내부 – 본사와의 공감이 있었기 때문일 수도 있겠다.)

당시에는 CEO와 홍보팀이 함께 가능한 실체로 내 세울수 있는 모든 메시지들을 리스트화 해서 딜리버리했다. Spokesperson을 CEO로 한 것도 해당 메시지들에 힘을 싣기 위한 전략적 노력이었다. (사실 M&A와 관련된 사항. 특히 회사 매각설에 대해 홍보팀장이나 임원이 대응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논의는 조금 진행되어야 하겠다)

또한 당시에는 해당 이슈를 회사측에서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표현을 위해 CEO가 직접 출입기자들을 모두 끌어 모아 놓고 이야기를 했다. 당연히 기자들은 경청을 했고, 여러가지 질문들을 했다. 소통이라는 것을 했다.

2년이 지난 지금 동일한 이슈를 가지고 대응하는 방식에서 가장 다른점이라면…’인간미’가 없다는 것 같다. 원래 전통적으로 오비맥주에는 인간미가 있었다. 그러나 세월이 지나면서 인간미가 없어진다는 느낌이다. 소통의 방식도 그와 무관하지 않다.

P.S. 이글을 쓰고 있는데도 다우존스 기자가 내 핸드폰으로 전화를 해 왔다. 오비맥주 매각설에 대해서 물어온다. 내가 회사를 옮긴지 모르고…쩝. 오비맥주 대표전화를 알려줬다. 잘됬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