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오늘 기사를 제목만 감상해 보자…
|
|
|
|
미디어오늘의 이야기는 이건희 회장이 특검에 출두 할 때 너무 무리한 경호로 기자들이 취재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는 이야기다.
한가지 더 재미있는 것은 이건희 삼성 회장의 2차 특검 출두 직전인 11일 오전 삼성측 이완수 변호사가 출입기자단에게 통보해온 말이다. 이 변호사는 기자단 간사 연합뉴스 임주영 기자에게 전화를 걸어와 네가지 요구사항을 건넸다고 한다.
- 이건희 회장이 들어올 때 아무 말도 하지 않을 것 같다.
- 나갈 때도 안할 것 같은데 국민에게 드리는 말 한마디 정도는 할 것 같다.
- 기자들의 개별질문은 안 받을 것같다.
- (그러니) 주관적 질문은 피해달라. 예를 들면 범죄집단이라는 표현 등이 그렇다. 부정적 이미지로 각인될 것같다.
기자들은 물론 일반인들도 다 이미 예견할 수 있는 이야기들을 앞에서 죽 늘어 놓은 이유는 마지막 요구 사항에 ‘부정적 주관적 질문은 하지 말아달라’는 협조요청을 하기 위해서인 듯 하다. 홍보책임이 아니라 변호사가 요청했다는 것들이라 재미있다.
사실, 기자들도 짬밥을 먹었고 한두번 이런 유사 취재를 해본게 아닌데, 이건희씨 입에서 무언가 건더기가 나오리라 생각 했을까? 물론 기대 이상일 수도 있겠지만, 어느 정도 사이즈는 나오는 상황아닌가…
이런 상황에서 공격적인 질문을 수천개 해 댄다고 이건희 회장이 하지 말아야 할말을 더 하거나 마치 고백 하듯이 술술 맘을 털어 놓으리라 기대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또한 한 두장을 건지기 위해서라지만 수백방의 셔터를 눌러대면서 이건희 회장을 오랫동안 따라 붙는 사진 기자들도 무언가 엄청난 사진 컷을 특종으로 건지리라는 기대를 하진 않았을 것이다.
뻔하게 답변하지도 않을 질문들을 막았다고 취재를 방해했다는 건 조금 그런 이야기다. 사진을 한장도 못찍게 한게 아니라 이제는 그만해도 됬다는 데 차 세워 놓고 세월아 네월아 셔터를 눌러댄다면 이것도 조금 아니다. 얻고 싶은게 무언가가 중요하다.
물론 과잉으로 안하무인격으로 기자들을 내팽겨치고, 밀어내는 것은 분명 잘 못이다. 하지만, 성과없을 것이 뻔하고, 별 결과물도 없다는 걸 알면서 무조건 시간을 끌고 괴롭히는 것도 선수들 끼리는 못할 짓이다.
‘취재를 방해 받았다’는 기사를 읽는데 왜 이렇게 그 표현이 재미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