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1월 032011 Tagged with , , , 0 Responses

은퇴하신 PR 시니어들이 왜 소일을 해야 하나? : PR 커리어에 대한 생각











2011년을 맞으면서
회사에 관한 생각과 내 자신의 커리어에 대한 생각 그리고 우리 회사 시니어들의 커리어에 대한 방향성들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나이가 40대에 접어들게 되면 아마 누구나 한번쯤
내가 언제까지 일할 수 있을까?” 또는내가 더 무엇이 될 수 있을까?”하는 고민을 하게
된다.

PR업계를 두고 고민해 보면 개인적으로 몇 가지 안타까운 점들이 있는데, PR에이전시의
경우 쥬니어들이 PR에이전시에서 커리어상의 목표를 정하지 않는다는 부분이 가장 아쉽다. 쥬니어들의 상당수는 PR에이전시에서 임원이 되거나, CEO가 되기를 바라지 않는 것 같다.

내심 속으로이렇게 힘들고 어려운 일을 하면서 저 나이까지 어떻게 버티겠어?’하거나 일부는 ‘PR에이전시 임원이 되면 뭐해 별로 연봉이 높지도
않아 보이고, 큰 회사도 아니라 어디 나가 자랑도 못하고, 그렇다고
대기업 임원 대우처럼 베네핏도 없는데…’하는 아주 현실적 생각을 하는 듯 하다.

인하우스의 경우에는 사실 홍보를 자신의 평생 직업(job)으로 받아들이면서 그에 몰두하는
실무자들이 생각보다 적다는 데 놀란다. 조직내 실세 부서에 언제든 기회가 있으면 트라이를 하는 홍보
쥬니어들도 뭐라 할 수는 없다. 일부는이왕 내가 홍보부서에서
잔뼈가 굵은 만큼 여기에서 임원이 한번 돼보자!’해도 종종 현직 시니어들 때문에 실현에 한계를 느끼기도
한다. 인하우스의 특성상 내부 정치력에 집중을 하게 되니, 중간관리자
이후에는 홍보 실무나 현업에서 한발자국 멀어져 (큰일만 하시는) 뒷방
어른 역할을 하게 되는 경우들도 일반적이다.

미국 PR협회 모임들을 들여다보면서 항상 부러운 점은그들의
모임에는 상당히 두터운 시니어들이 함께 한다는 부분이다. 50-60대 현장에서 뛰고 있는 전문가들이
무척이나 많다. 더 부러운 점은 그 시니어들이 실무에 대해, 실무
철학에 대해, 새로운 트렌드에 대해, 큰 비전에 대해 프리젠테이션
하고, Q&A를 진행할 능력들을 지속적으로 키워나가고 있다는 점이다.

당연히 쥬니어들은 그 많은 시니어들에게 존경을 표하고, 그들의 이야기를 자양분으로 듣고
자라게 된다. 이러한 순선환들이 정말 부럽다. 인하우스와
에이전시간의 상호 존중과 친밀도 또한 부럽다. 에이전시에도 인하우스가 존경할만한 많은 시니어들이 존재한다는
사실 때문이다.

작년말 PR업계 모 송년회 자리에서 이런 이야기를 들었다.
“OO
그룹 홍보 중역했던 OOO씨 말이야얼마
전에 만났는데 후배들에게 박사학위 꼭 하라 조언을 하시더라. 50대 후반 그 나이에 늦게라도 딴 박사학위라도
없었으면 지금 안방 노인네 취급 받았을 거라고. 지금 대학교 강의
2-3
개 나가면서 소일하는 게 다 박사학위 덕분이라고 하시더라고. 그 분은 그래도 럭키
한 거지?”

그룹사에서 평생 홍보일을 해오시다가 은퇴 후 이제는 대학강의를 나가시는 것이 우리 선배들에게는 꿈이다. 물론 40~50대생
선배들에게는 그게 꿈일 수 있다. 아주 현실적인 소망일 수 있다. 하지만, 우리들에게는 그것이 목적이고 꿈이고 비전이면 너무 안타깝다.

왜 평생의 경험과 쌓아놓은 철학을 스무살짜리 어린 대학생들에게만 쏟아야 하나. 그 시니어의
경험과 철학을 다시 기업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투자 할 수는 없을까? 은퇴 후 소일하는 것이 아니라, 더욱
크고 의미 있는 시니어로서의 컨설팅을 하기는 힘들까? 그러기 위해서 은퇴전 십여년 이상을 투자하면 어떨까?

왜 우리 시니어들은 나이가 30대 후반과 40대가
되어서야 전공서적과 이론서들을 들춰보고 있는가? 왜 그들은 은퇴 후 보장을 위한 박사학위를 그리도 그리워
하는가? 왜 진짜 조직을 위해 일하고, 고민하고, 변화를 주도해야 하는 시니어 시절을 야간에 대학강단을 바라보며 지새워야 하나.

에이전시나 인하우스에서 더 많은 시니어들을 구경했으면 한다. 그 시니어들이 지속적으로 일하시고, 경험하시고, 성장하시면서 후배들에게 큰 롤모델들이 되 주었으면 한다. 손자뻘 대학생들과 소일하시는 것도 좋지만, 먼저 실제 기업들의 고민을
해결해 주시고, 혜안을 던져주시고, 현직의 CEO들에게 무게감 있는 조언을 해주셨으면 한다.

시니어들이 대학강단에 서 있거나, 소일 하게 만드는 지적
서비스업계는 정상일 수 없다고 본다. 내 자신도 그래서
죽는 그날까지 노력해야 하고, 우리 시니어들도 그렇게 리드해야 한다 믿는다. 평생 직장보다는 평생 직업으로 죽기 전날까지 성장해야 한다.

지적 서비스를 했던 시니어라면 그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