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내 위기 관리 시스템

3월 062009 Tagged with , , , , , 6 Responses

강력하게 부상하는 위기요소

신영철 대법관이 서울중앙지법원장으로 있던 지난해 촛불사건을 맡은 형사단독판사들에게 여러 차례 이메일을 보내 재판에 관여하고 간섭한 것으로 확인돼 충격을 주고 있다. [서울신문]



법원내의 이메일 몇통이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지난 포스팅에서도 일부 언급했었지만, 최근들어 가장 주목받고 있는 위기요소가 바로 내부고발 이슈다. 삼성케이스도 그랬고, 이번 법원 파문과 관련해서도 일선 판사들의 내부고발이 벌써 있었다.

참고 포스팅: 내부고발자

참고 포스팅: 위기와 명성(reputation)


기자들에게도 유력한 내부고발자 만큼 좋은 취재원은 없다. 어느 회사 하나를 중점적으로 손볼때도 그 회사 내부고발자들의 도움이 있으면 아주 쉽다. 전직임원, 퇴직한임원, 사내에서 반골성향이 있는 임원등은 아주 좋은 대상이다.

하지만, 이런 구도에서 괜히 의심을 받게되는 분들도 있는 게 사실이다. 해당 기자를 퇴직후에는 한번도 만나거나 통화조차 하지 않았는데, 회사에서는 아마 저 퇴직 임원의 입에서 나온 정보일꺼야 하고 의심을 하는 경우들이 많다. (환장할 노릇아닌가)

위기관리 시스템에 과한 책들에서도 종종 ‘중역들의 쓰레기통을 뒤져보라’는 말을 해 놓은 걸 본적이 있다. 예전 책들이었으니 아마 문서보안등에 관해 조심하라는 경고지만, 우리도 얼마전까지 기자들이 쓰레기통을 뒤져 특종을 해내던 시절이 있었다.

요즘에는 전자 이메일과 메신저 그리고 파일등이 중요한 보안대상이 되었다. GS칼텍스 경우에도 CD몇장에 담긴 파일들이 그렇게 큰 파장을 불러 일으켰다. 예전 같으면 몇박스의 문서더미를 빼돌려야 했던거다.

이번 법원 파문을 보면서 흥미로운 점을 발견한다. 일단 이메일이라는 최신 사무도구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의식이 아직 이전 문서작업 시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거다.

1. 이메일이 절대 안전하다고 믿고있다.
2. 이메일에 극히 내부외부에 보안을 지켜줄 것을 부탁까지 했다.
3. ‘친전’이라 썼다. (압권이다)
4. 하나의 이메일을 여러명에게 여러번 반복해서 발송했다.
5. 그리고, 안심했다.

앞으로 예상컨데 상당히 이런류의 위기들이 반복적으로 많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정보를 가진자들이 도구를 이해하지 못해 생기는 이런 어처구니 없는 해프닝과 내부고발의 악순환은 계속된다는 거다. 사내 위기관리 시스템에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올라서고 있는 이슈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