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132008 Tagged with , , , , 3 Responses

정확한 답이 있나?

제안서나 컨설팅 페이퍼를 만들 때 과연 ‘정확한 정답’이 있는가 하는 생각을 한다. 예를들어 ‘1+1은?’ 하고 물어볼 때 정답은 2라고 이야기 하는 것과 같이 그 누구도 정상적인 사람이면 부정할 수 있는 정답이 이쪽 바닥에도 존재하는 가 하는거다.

일선에 있는 AE들이 힘들게 밤을 새워 만들어 놓은 제안서를 부사장이라는 사람이 칼질을 해대고 또 그 보쓰가 갈기 갈기 찢어 놓으면서 “이것이 정답’이라고 말해도…과연 그게 진짜 정답일찌는 아무도 모르는 거 아닌가.

자기가 익숙하고 자기가 이해하기 쉬운대로 잣대를 이리저리 휘둘러 자기 나름대로 작품을 만들어 보겠다고 설치지만…그게 정답이라는 확신은 그 누구에게도 없는 것 아닌가.

정답은 그럼 어디에 있을까?

정답은 클라이언트에게 있다고 보는게 그나마 맞겠다. 제안서니 컨설팅 리포트니 아무리 만든 인간들이 잘난척을 해대도 클라이언트가 사지 않으면 그건 정답이 아닌거다. 지 스스로 잘난척에 겨워서 제안서나 컨설팅 리포트 따위를 써도…그 스스로가 정답은 아니다라는 걸 빨리 깨닫는게 좋다.

자기의 스타일이 그리고 자기의 잘난척이 정답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은 ‘과연 내가 설친 제안서 따위가 얼마나 팔렸는가”를 가늠해 보면 되겠다. 자신이 10번을 나름대로 작품을 만들었는데 그중에서 제대로 팔린 작품이 하나도 없다면…또는 한 두개라면…그건 자기가 정답을 만들고 있지 않다는 거다.

학교 시험에서도 20점을 맞으면 선생님에게 종아리 따위를 맞지 않나.

왜 자신의 성적을 그냥 무시하면서…고집과 잘난 척만 떠는 지 모른다. 모든 사람에게 말이다.


Communications as Ikor에서 더 알아보기

구독을 신청하면 최신 게시물을 이메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

3 Responses to 정확한 답이 있나?

댓글 남기기

Communications as Ikor에서 더 알아보기

지금 구독하여 계속 읽고 전체 아카이브에 액세스하세요.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