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72009 Tagged with , , 4 Responses

강의 교육의 단가에 대한 생각

대학교 강의를 듣고 있는 학생의 입장이자, 강의를
하고 있는 강사의 입장에서 한번 국내 강의 교육의 단가에 대해 한번 생각을 해 본다.

지금 듣고 있는 강의들은 한 학기 3개 강의이고,
강의가 학기당 15강 정도가 된다고 하면 총 45강의 수가
되겠다. 학기당 수업료가 약 500만원 정도이니 한 강의당
수업료는 10만원 가량이다.

한 강의당 여섯 명 가량이 듣는데, 학교측은 하나의 강의로 한번에 60만원 가량의 수입을 올리는 셈이다. 교수에게 돌아가는 강의료의
경우 그보다 조금 못할 것으로 보면, 해당 교수는 시간당
10
만원도 받지 못하고
박사과정 강의를 이끌어 나가는 거다.

내가 강의를 하고 있는 모 대학의 경우 15번의 강의를 하는 강사에게 한 학기 약 250만원 가량의 강사료를 지급하는 것 같다. 각 강의당 17만원 가량이 지급되고, 시간당 강의료는 5 5천원 가량이다.

학생수가 50명이니 한 명의 학생은 나의 강의에 대해 시간당 1100씩을 지불하고 있는 셈이다. 정말 저렴한 강의다.

외부강의를 나가면 보통 시간당 30-50만원 가량을 지불하는 곳들이
많은데, 외부 강의 한 단위당 수강 인원을 50-100
가량으로 보면수강생 한 명이 강사에게 지불하는 돈은 시간당 끽해야 5~6천원을 넘지 않는다.

보통 책 하나 가격이 1만원 가량인데 비해 강의료는 너무 싸다. 우리나라는 책도 물론 싸다.

대학 졸업생들이나 대학원 졸업생들이 사회에 나오면 별로 활용 가능하지 못하다는 평가들도 어느 정도 이해가 가는 부분이다. 교육도 어떻게 보면 재화인데이렇게 싸구려 재화들이 제공되는
교육 환경에서 무엇을 더 바랄 수 있나 하는 거다.

한번 돌려 생각해 보면 그 정도의 ‘싸구려’ 강의들을 듣고서도 그 나마 학생들이 그 정도라도 지식적인 소양을 갖추는 것이 차라리 대단한
게 아닐까 한다. 스스로 열심히 공부했기 때문이겠다.

책과 강의처럼 싼 게 없는 한국이 과연 행복한 곳일까?





Communications as Ikor에서 더 알아보기

구독을 신청하면 최신 게시물을 이메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

4 Responses to 강의 교육의 단가에 대한 생각

댓글 남기기

Communications as Ikor에서 더 알아보기

지금 구독하여 계속 읽고 전체 아카이브에 액세스하세요.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