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102008 Tagged with , , 0 Responses

The most appropriate fashion for spokesperson

“저의 말로 상처받았을 분들을 생각하면 가슴이 아프다. …대변인 오래 해봤자 말의 악업만 쌓인다. 대변인 오래 할 거 못 된다” [동아일보, 대변인들, 유종필의 ‘속죄 글’ 읽어보길]

 
우리나라 정치 환경의 특수성이라고나 할까…정당의 대변인은 ‘공격수’의 역할이 업무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 같다.

원래 대변인(spokesperson)이란, ‘A spokesman (spokeswoman or spokesperson) is someone engaged to speak on behalf of others’라고 wikipedia는 정의한다. 즉, 타인의 편에서 이야기 하는 것을 담당하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이 정의에 덧붙여진 역할을 한번 보면:

In the present media-sensitive world, many organizations are increasingly likely to employ professionals who have received formal training in journalism, communications, public relations and public affairs in this role in order to ensure that public announcements are made in the most appropriate fashion and through the most appropriate channels to maximize the impact of favorable messages, and to minimize the impact of unfavorable messages.  이라 설명하고 있다.

대변인은 ‘공중들에게 호의적인 메시지들의 효과를 극대화 하고, 호의적이지 않은 메시지들의 효과는 최소화기 위해 가장 적절한 체널들을 통해 가장 적절한 방식(fashion)으로 발표 하는 역할’을 한다고 한다.

유종필 전대변인의 편지에서 읽을 수 있는 부분은 현실상 우리나라 정당 대변인의 역할에서 ‘가장 적절한 방식(The most appropriate fashion)’이 바로 ‘가장 효과적으로 남에게 상처를 주는 방식(The most effective hurting fashion)’이었다는 느낌을 주고 있다.

미디어 트레이닝 교과중 대변인의 임무에 ‘남에 대한 말을 많이 하면 안된다’는 기본적 원칙이 있다. 왜냐하면 자신은 특정 조직이나 개인에게 고용되어 그 해당 조직이나 해당 개인을 대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변인은 기본적으로 자신이 대변하는 주체에 대한 이야기에 충실해야 하고, 정통해야 한다. 그러한 충실함과 정통함으로 경쟁조직 및 경쟁자들과 차별화하는 것이 대변인의 기본 역할이다. 일종의 포지션이다.

그런측면에서 유 전대변인께서 남긴 저 말들은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특히나 “대변인 오래 해 봤자 악업만 쌓인다”…하는 말은 자신이 대변인이라는 일을 제대로 해오지 못했다는 의미를 넘어 후배들에게 남기는 일종의 저주 같아 더 섬뜻하다. 환경만 탓하는 것 같아..좀 그렇다. 


Communications as Ikor에서 더 알아보기

구독을 신청하면 최신 게시물을 이메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

Communications as Ikor에서 더 알아보기

지금 구독하여 계속 읽고 전체 아카이브에 액세스하세요.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