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욱 농심 회장은 15일 서울 소공동 프라자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광고주 불매운동으로 피해를 많이 보고 있는데 고소할 의사가 있느냐’는 질문에 “검찰이 수사를 하면서 권유를 많이 했다. ‘피해를 가장 많이 보지 않았느냐. 부당한 정보가 많이 흘러다니는데 왜 고소하지 않느냐’라고 말했다. 회사 임원들한테 전화가 온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날 기자회견에 동석한 조선형 부사장은 “검찰 수사관이 지난주에 전화를 걸어와 불매운동에 따른 매출감소 등 피해를 수치로 제시해달라고 요청하면서 고소 의사가 있는지 회사 입장을 명확히 밝히라고 했다”고 말했다. 그는 “하지만 소수 의견도 고객의 생각을 겸허히 받아들여야 하기 때문에 검찰에서 요구하는 피해 수치 등을 제시하지 않았다. 또 잘못된 부분은 알려야 하겠지만 지금은 고소 등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검찰에 얘기했다”고 덧붙였다.[한겨레, 검찰, 농심에 ‘광고중단 누리꾼’ 고소 권유]
N사의 기자간담회에서 많은 이야기들이 거론되었겠지만, 많은 매체들이 손회장님의 검찰에 관한 언급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다. 홍보팀에서 이미 예측을 했었겠지만, 현재 N사의 스토리(꺼리)는 바로 이 부분 밖에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기자들이 일련의 사건들에 대한 해명을 듣는 자리는 분명 아니었고, 앞으로 어떻게 하겠느냐 하는게 야마 임이 당연했다. 그 중에 네티즌에 대한 회사의 대응 방침 관련 질문은 예상질의 응답 순서 1번이었어야 했고, 이에 대한 답변 또한 ‘극히 민감한’ 상황을 감안해 ‘극히 절제되고 단정한’ 답변으로 마련 되었어야 했다.
하지만, 실상은 또 하나의 해프닝을 만들어 냈다고 본다. 미디어 트레이닝에서 가장 먼저 거론되는 Don’ts에 “국가 정책이나 정부에 관련 된 부정적인 이야기는 최대한 삼가하라”는 부분이 있는데, 이번 경영진의 답변은 이에 정면으로 반하는 답변이었다.
내부적으로는 ‘검찰’을 희생양으로 삼아서라도 네티즌들의 호감을 조성해야 하겠다는 전략적인 판단이 있었을 수도 있겠다. 그러나 이는 분명 절름발이 전략이다. 또한 너무 과감했고, 불필요하게 리얼하다.
추후에 홍보팀의 전면 부인 전략도 눈여겨 볼 만 하다. N사를 보는 느낌이 현재 청와대의 시스템을 보는 느낌과 너무 닮아있다. 앞으로도 케이스 연구의 자료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