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192009 Tagged with , , , , 12 Responses

평생 할 일에 대한 생각











지난 2주간 그리고 이번에 시작되는 한 두주간 몇 년 만에 가장 바쁜
날들이 지속되었고 지속될 것 같다. “바빠요. 아주. 그래도 어차피 평생 해야 하는 일이니까요…”했더니 한
기업 임원께서아휴, 어떻게 그렇게 쉬지 않고 평생…”하신다.

하루는 각기 다른 3개 대형회사들과 미팅을 하면서
위기위기관리라는 이야기를 수백 번 한 듯 하다. 지난주 며칠간은 수십 명의 기업
임원 및 팀장님들과위기위기관리‘ ‘시스템등등의
이야기를 수백 번 하기도 했다. 위기와 위기관리라는 기고문들과 포스팅들을 여기 저기 기억나지 않을 정도로
했고, 수십 개의 관련 블로그 포스팅들을 읽고 감탄했었다.

평생 해야 할 일

한 포텐셜 클라이언트 임원께서 이렇게 물으셨다. “아주 괜찮은 일을 하시고 계시는 것 같아요이렇게 답했다. “아주 잘 선택했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저희가 배우는 것이 더 많은 일이거든요

그렇다. 기업 내부에서는 몇 년에 걸쳐 겪어 봄직한 여러 가지 위기사례들과 위기관리 시스템에
대한 작업들을 우리는 주간이나 월 단위로 반복하지 않나.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얻은 다양한 인사이트들과 특성들
그리고 다른 기업철학의 경험들이 가장 큰 자산이고 경쟁력이 되고 있다. 분명 클라이언트들의 힘이고 도움이다.

평생 할 수 있을까?

일주일에 하루 금요일 저녁정도에 피로를 풀 겸 한잔을 하면서 이랬다. “일주일
하나의 낙이었던 주말 한잔도 이젠 못하게 생겼어. 토요일 아침에 수업을 들어야 하잖아…” 앞에 앉아있던 교수님이 이런다. “방학이
소중해 지는 경험을 하게 되었잖아그렇다. 소중한
게 하나 더 생긴 거다.

모 경영 월간지 기자 분이 인터뷰를 하면서 이렇게 물었다. “클라이언트는 몇 개정도
까지 확장하실 예정이십니까? 큰 회사로 성장시킬 경영 비전에 대해 듣고 싶습니다.” 그 질문에 이렇게 대답했다. “클라이언트를 많이
늘리고 싶은 생각은 없습니다. 어차피 이 일들이 우리들의 전문 역량에 달린 일들이고, 절대적인 품질을 위해서는 절대 시간의 투자가 필요합니다. 하루 24시간을 쪼개고 쪼개서 극한적으로 클라이언트를 맡아야 한다면 그건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품질이 보장되는 한도 내에서 클라이언트와의 윈윈이 더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극한 성장을 위한 경영비전?

항상 코치들과 하는 말이지만위기관리 컨설턴트로서 나를 믿고 나를 꾸준히 찾아주는 평생
같이 갈 기업 대여섯 개면 충분하지 않을까 한다. 코치들은 어떻게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말이다.

그래야 평생 이 일을 할 수 있는 거 아닐까 하는 거다.

10여년전 나의 꿈처럼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