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comment

11월 262009 Tagged with , , , , , , 0 Responses

과연 시간이 해결 해 줄까?

저쪽의 주장을 놓고 가만히 생각해보면 ‘이렇게 저렇게 해명하면 되겠다’는 길이 보이는 것도 같다. 하지만, 그때그때 대응하지는 않으려 한다. 주변에서 이렇게 가만있으면 모든 걸 긍정하는 셈이 되지 않겠느냐고 워낙 걱정들을 해서 오늘 이 자리를 만들게 됐다. [연합뉴스]

보통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분들께 이런 말을 자주 하시는 것을 본다. “시간이 모든 것을 해결 해 줄 것이라 믿었다…”

기업이나 조직들도 보통 타이밍을 놓치고 여론에 떠밀려 커뮤니케이션을 개시하면서 자주 활용하는 수사다하지만, 시간이 과연 뜨거운 논란을 잠재울 만큼 확실한 해명을 제시하거나, 시간이 확실한 해결사의 역할을 한 경우들이 더 많을까?

          

나훈아는 환갑이 넘은 나이라고는 믿겨지지 않을 정도의 정정한 모습으로 연단에 올랐다. 연단의 높이는 상당했다. 취재진을 위에서 내려다 보며 말문을 연 그는 “해명할 사실이 없어 그간 가만히 있었다” [이데일리 SPN]

마지막으로 강성연은 “아마도 시간이 지나면 진실은 밝혀지리라 생각됩니다.” [한국경제]

미즈메디병원 이사장간 책임공방 양상으로 치닫자 이로 인한 한국 과학계 사기 저하와 국력 낭비를 염려하면서도 “시간이 지나면 진실이 드러날 것”이라며 신중하게 기다려보자는 반응이었다. [매일경제]

재미있는 것은 시간이 진실을 밝혀 줄 것이라는 말을 자신이 스스로 하면서 해명을 시작한다는 사실이다.

왜 시간이 진실을 밝혀 주지 않을까?

* 진실은 항상 하나뿐인 것이 아니기 때문
* 시간이 지나면 반대로 진실도 곧 잘 바뀌기 때문
* 기자들은 시간이 진실을 밝혀주기 전에 스스로 진실을 밝히려 하기 때문

그리고, 오디언스들의 측면에서는

* 침묵은 인정을 뜻하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No comment is a comment. 함부로 시간을 믿지 말자.

 

7월 032008 Tagged with , 0 Responses

No comment means…

민변은 이 변호사의 말만 믿고 기자회견을 열었다가 본의 아니게 허위사실을 공표한 것이다. 백 회장과 함께 기자회견장에 있던 이
변호사는 “중앙일보의 보도는 비열했고, 언론개혁의 필요성을 느꼈다”고까지 주장했다. 민변은 기자회견 말미에 “민변과 이 변호사
명의로 해당 기사를 작성·게재한 기자와 언론사에 대해 법적 대응을 통해 끝까지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쇠파이프 발언’이 사실로 확인된 데 대해 이 변호사는 “노 코멘트”라고 말했다.[중앙일보, 민변, 소속 변호사 거짓말 믿었나]

“No comment” means ‘guilty’
변호사께서 이런 등식을 모르실리가 없는데도 상당히 법적으로 답변을 하셨다. 항상 이야기 하지만 노코멘트는 하는게 아니다. 아무 소용이 없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