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록 사고 발생 지점이 서울 시내이지만 시내버스 제작이나 안전점검 등 권한과 책임은 지식경제부와 국토해양부 등에 있어 마땅히 적극적으로 취할 조치가 없다는 점도 서울시에 답답함을 더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가스 용기 부분을 직접 검사할 권한이 없어 신속하고 적극적인 조치에 어려움이 있다“며 “우선 서울시내 CNG버스 7천234대에 대해 가스안전공사, 시내버스 조합을 통해 8월 중 일제 안전점검을 하겠다“고 밝혔다.[연합뉴스]
이번 CNG버스 폭발 사고를 보면서 궁금한 점이 하나 있다. 위기관리 주체가 누가 되어야 하고, 어떻게 해당 위기를 관리 중인가 하는 부분이다.
그냥 상식적으로만 꼽아봐도 해당 버스 회사, 시내버스 조합, 서울시, 가스안전공사,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경찰 등의 많은 주변 관계자들이 존재하는데 이들 중 누가 위기관리 주체인가?
이들 중 누가 피해를 입은 피해자들과 커뮤니케이션 하고 있을까? 누가 CNG 버스의 안전이나 개선책에 대해 커뮤니케이션하고 있을까? 누가 일반 승객들의 두려움을 케어 해야 할까?
위기는 있는데 해당 위기를 관리할 주체가 없다. 발목이 잘려나간 피해자는 있는데 그 피해자에게 다가와 커뮤니케이션 하는 주체들이 없다. 승객들이 두려워하는 데 안심을 시키려 하거나, 개선 하겠다 적극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하는 주체가 없다.
주체가 있다 주장을 해도…일반국민이 모르면 없는 셈이다. 그렇지 않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