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족

3월 272009 Tagged with , , , , , 2 Responses

What are you saying?

혹시나 싶어 화장실을 다녀오며 주방으로 가서 물컵을 좀 달라고 말하면서 하얀 가루를 퍼낸 통을 보니 진짜 화학조미료였다. 당장
식당을 나오고 싶었지만 이미 시킨 음식을 취소할 수 없어서 그냥 먹었으나 속이 이상했다. 맛있다고 먹는 아이들을 보니 답답한
마음이 들었다. 집으로 돌아와 화학조미료의 위험성에 대한 이야기를 하며 다시는 그 식당에 가지 말라고 말해줬다. [
부산일보, 독자마당]



예전 소비자고발을 통해 중국음식점들의 비위생문제와 함께 화학조미료 과다사용문제들이 이슈화 된 적이 있다. 위의 독자기고는 한 동네 음식점에서 화학조미료를 아이들이 먹을 국수에 퍼 넣는 장면을 목격하고 놀란 독자의 글이다.

언제부터인가 화학조미료는 거의 공공의적 1호가 되었다. 30여년전만해도 마법의 음식 재료였던 화학조미료가 이제는 청산가리 수준의 극약으로 인식되고 있다.

화학조미료를 과다 사용하는 것은 물론 화학조미료가 조금이라도 들어간 음식은 쓰레기 취급을 받기까지 한다. 지난 수십년간 화학조미료를 사용해 가며 음식을 해 오셨던 어머니들과 할머니들도 이제는 자식들에게 ‘조미료 쓰지 말고 음식해라”하신다. 심지어 아이들에게 조미료 음식을 먹이는 엄마들은 ‘무식한 엄마’로 치부 받는다.

화학조미료는 식약청에서 인정한 음식용 조미료다. 그런데도 이러한 이슈가 발생하고 화학조미료 생산업체가 독극물 제조사가 되고, 거기서 일하는 직원들이 마약제조자 처럼 손가락질 받는 이 현실은 왜 일까?

이 화학조미료를 만드는 기업들은 과거와 현재 어떤 메시지를 우리들에게 전달하고 있는 건가? 자신들에 대해 어떤 대화를 진행하고 있는 걸까? 무엇을 어떻게 말하고 싶어 하는 걸까?

위기는 커뮤니케이션의 부족과 실패에서 오는 게 아닐까?

7월 162008 Tagged with , , , , , , , , , 0 Responses

[PR 선문답] 생존방식에 대한 윤리성과 원칙?

한 선원이 항해 중 폭풍을 만나 남태평양 한 외딴 섬에 표류했다. 사방 수십킬로안에는 어떤 섬도 존재하지 않고 이 섬에서 남은 여생을 살아야 할 처지가 됬다.

이 낯선 섬에는 40개의 중소규모 부족들이 살고 있었다. 이 조난 선원은 이 40개의 부족들에게 도움을 받아야 앞으로 살아갈 수 있다.

좋은 관계를 맺어 놓지 않으면 이들은 이 조난선원이 모아 놓은 양식을 몰래 바다에 가져다 버리거나, 공격해 와서 허름하게 지어 놓은 텐트를 모조리 부시고 가져갈것이다.

반대로 각 부족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게 되면 이들에게 각종 음식들을 제공받는 것은 물론, 비교적 좋은 집과 옷가지들을 얻을 수 있다. 더 좋은 관계를 유지한다면 아주 편하게 이들과 ‘함께’ 생활 할 수 있는 기회도 생긴다.

그러면 이 조난선원은 어떻게 이들 40개의 낯선 부족들과 좋은 관계를 맺어야 할까?

1. 각 부족을 찾아가서 이야기를 나누고 친해지려 노력한다.

2. 혼자 열심히 사냥을 해서 사냥감들을 각 부족들에게 나눠 준다.

3. 돌아오는 부족들의 행사에 참석해서 즐겁게 해준다.

4. 각 부족들의 대표들을 불러 모아 몇달 손수 담가 놓은 을 마시고 친해진다.

5. 자신과 말이 통하는 부족민들 몇명과 친해지려 노력 해본다.

6. 그냥 살면서 찾아오거나 마주친 부족민들과만 사이 좋게 지내려 한다.

7. 부족민들을 가능한 많이 초청해서 잔치를 벌여준다.

8. 공격을 받을수 있지만 멀리 떨어져 혼자서만 나름대로 살아간다.

9. 부족민들과 친하다는 한두명의 거간 원주민에게 사냥감들을 일부 나눠주고 그 원주민들에게 자신을 지켜주고 몇몇 부족과 사이 좋게 살아 갈 수 있게 도와달라 한다.

10. 부족민들과 친하다는 한두명의 거간 원주민에게 사냥감을 나눠주고 그들의 가이드와 함께 부족 지역들을 돌아다니면서 각 부족민들과 재미있는 시간을 가지고 폭 넓게 친해지려 노력한다.

어떤 방식이 가장 효과적인 생존방식 일까? 이 이외에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생존방식은 또 없을까? 각각의 생존방식에 윤리나 개인적 원칙의 잣대가 과연 필요할까?   

(용어 설명) 섬 = 시장/사회, 부족 = 주요 언론, 선원 = 회사& 홍보팀, 거간 원주민 = PR 대행사, 사냥감 = 광고 또는 Agency fee, 행사 = 언론사 행사 /캠페인, 술 = 접대, 말이 통하는 부족민 = 학연, 지연, 혈연 기자, 잔치 = 기자 대상 행사 (프레스투어, 기자간담회…)

      사용자 삽입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