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082007 0 Responses

[정용민의 미디어 트레이닝] 생각이 바뀌면 모두가 편하다

생각이 바뀌면 모두가 편하다
[정용민의 미디어 트레이닝]

기업&미디어 web@biznmedia.com

언론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CEO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을 규정하는 4가지 요건들인 언론에 대한 고정관념(Stereotype), 언론 접촉 경험(Experience), 성격(Personality), 커뮤니케이션 습관(Habit) 중 오늘은 ‘언론에 대한 고정관념’에 대해 이야기해 본다.

여러 CEO들을 만나 보면 의외로 언론과 기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으신 분들이 많다. 일반적으로 CEO들이 생각하는 언론과 기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들은 대략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나쁜 이슈들만을 물고 늘어진다
        -주관적이며 공정하지 못하다
        -권위적이다
        -부패(spoil)했다
        -점점 비즈니스맨이 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고정관념은 사내에서 CEO 뿐 아니라 일반 직원들에게도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듯 하다. 오전에 홍보팀장이 자칫 술 냄새라도 풍기면서 지나가면 인사말투로 이렇게 이야기들을 한다. “기자O들 접대하느라 고생이 많네요. 저 같으면 그런 거 못해요…” 도대체 언제 기자들을 만나 봤다고 대뜸 ‘기자O’인가?

세월이 지나면서 깨달은 것은 홍보 담당자들은 절대로 사내에서 기자들에 대한 부정적 이야기들을 하면 안된다는 것이다. 일부 홍보 담당자들은 자신들이 힘들게(?) 일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기자들과의 관계와 특성에 대한 과도한 이야기들을 내부적으로 공유하곤 한다.

그러나 이런 행동은 단기적으로는 “홍보팀이 고생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지만, 장기적으로 ‘홍보팀은 그냥 그런 친구(?)들을 관리하는 3D 부서’ ‘정도로 사내에서 큰 의미를 획득하지 못한다.

일반직원들이 가지는 언론과 기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그렇다고 치자. 언론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CEO가 가지는 부정적 인식은 가끔 치명적인 상황을 초래하곤 한다.

CEO의 대 언론 편견, 홍보실도 책임
모 그룹 계열사 CEO께서는 한 경제단체에서 주제 발표를 하시면서 참석한 CEO들에게 기자들의 특성에 대한 재미있는 (그러나 상당히 시니컬 한) 농담을 몇 개 했다. 그 CEO는 업계에서 친언론 CEO로 알려졌기 때문에 그의 농담은 참석한 CEO들에게 언론에 대한 잘못된 고정관념과 편견을 심어주기에 충분했다. 문제는 현장에 그 경제단체 출입 기자들 일부가 취재차 참석 했었다는 것이다. 기자들은 그 농담에 경악을 금치 못했다. 따라서 맨 뒤 줄지어 앉아 있는 기자들을 뒤 늦게 발견한 그 CEO께서는 발표 후반부에 진땀을 많이 흘렸다는 후문이다.

홍보 담당자들은 CEO가 가지고 있는 언론에 대한 부정적 편견을 가능한 해소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CEO의 언론관에는 언론의 존재이유와 기자의 취재 목적 그리고 그 의미를 바라보는 철학이 밑받침 되어야 한다.

모 사의 신제품 출시 전략 미팅에 참석한 적이 있다. 생산, 기획, 영업, 마케팅, 홍보팀의 장들이 모인 그 자리에서 그 회사 CEO는 이렇게 말했다.
“모든 게 잘 준비되고 있다. 이제는 어떻게 이 제품에 대한 버즈(buzz)를 일으키느냐에 우리의 성패가 달려있다. 홍보팀에서는 가능한 언론에 본 제품 출시 정보를 노출하는데 최선을 다하라. 마케팅에서는 홍보팀이 최대한 퍼포먼스를 얻을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을 논의해라. 언론 노출을 극대화하는 것이 지금은 가장 중요하다.”

이 CEO는 회의 2주전 회사에 인사차 들른 모 경제지 기자와 인사를 나눈 적이 있었다. 홍보팀장이 그 기자를 소개하자 반갑게 악수를 나눈 그는 뒤 돌아 서 홍보팀장에게 눈을 찡긋하면서 이렇게 속삭였다. “뭐, 광고 같은 거 달라고 온 거 아니야? 거 그냥 어디가 술 한잔 해.”

이렇게 부정적인 언론관을 가지고 있는 CEO도 자신의 제품 출시를 위해서는 언론의 관심을 간절히 원하고 있는 것이 재미있다. 언론은 ‘싫지만’ 이용할 ‘가치’는 있다는 것인가? 이러한 CEO의 고정관념과 편견에 대해 홍보 담당자들도 일부 책임을 져야 한다. 그리고 올바른 언론관으로의 교정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그래야 서로가 편하다. 회사 전체는 물론 소비자들도 모두가 말이다.

   

   

정 용 민
PR컨설팅그룹 커뮤니케이션즈 코리아 부사장
前 오비맥주 홍보팀장
前 커뮤니케이션즈 코리아 부장
ICO Global Communication, LG-EDS, JTI Korea, 제일은행, Agribrand Purina Korea, Cargill 등 다수의 국내외 기업 경영진들에게 Media Training 서비스 제공
Hill & Knowlton, Crisis Management Training Course 이수(도쿄)/영국 Isherwood Communications, Media Training and Crisis Simulation Session 이수/ 세계 최대 맥주회사인 InBev Corporate Affairs Conference in Miami에 참석해 영국 Isherwood Communication의 Mr. Isherwood에게 두번째 Media Training 및 Crisis Simulation Training 기법 사사/ 네덜란드 위기관리 컨설팅회사 CRG의 Media training/crisis simulation session 이수

by 우마미 | 2007/10/12 14:18 | Crisis & Comm | 트랙백 | 덧글(7)

Communications as Ikor에서 더 알아보기

구독을 신청하면 최신 게시물을 이메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

Communications as Ikor에서 더 알아보기

지금 구독하여 계속 읽고 전체 아카이브에 액세스하세요.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