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에게 법적 조치를 취해도 되겠죠?
정용민 스트래티지샐러드 대표
[한 기업의 질문]
“한 기자가 저희 회사와 관련하여 매우 부정적인 기사를 썼습니다. 분명히 해명했는데도 일부 정확하지 않은 사실을 기사에 넣어 자극적으로 저희 회사를 다루었습니다. 경영진이 로펌과 상의하여 강력하게 대응하라 하는데요. 기자에게 법적 조치를 취해도 되겠지요?”
[컨설턴트의 답변]
최고경영진이 강력한 법적 조치를 취하라 하셨다면 그에 대한 실행은 해야 하겠습니다. 최고경영진이 보실 때 해당 기사가 사업연속성 측면에서 부정성이 강하다 인식하셨기 때문에 그런 수준의 대응을 지시하신 것이겠지요.
하지만, 질문하신 임원께서는 현재 언론창구를 담당하며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을 실행하는 위치에 계시니 여러 고민이 많으실 것이라고 봅니다. 일단, 기자에게 법적 대응을 하기 전 몇 가지 사전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은 인지하고 계시리라 믿습니다.
일단 해당 기자와 함께 그 위 데스크와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 노력을 기하는 것이 기본이겠습니다. 그런 노력이 제대로 통하지 않았으니 부정기사는 탄생한 것이겠지만, 그 직후에도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은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에 게재된 기사를 일부 수정하는 선에서 합의를 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중요한 것은 합의를 이루는 것입니다.
정확하고 합리적인 해명과 대응 메시지를 제대로 전달하는 것 또한 기본입니다. 그러나 실행 일선에서는 이 부분을 상당히 어려워하지요. 일단 기업측에서 기자의 취재 범위와 수준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합니다. 스스로도 정확한 반박 정보를 가지지 못할 때도 많습니다. 자사에서는 사실이라 믿는 정보가 실제로는 사실이 아닌 경우도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결국 기자에게는 대응 답변을 정확하게 주지 못하거나, 인정에 주로 호소하게 됩니다. 유효한 대응이 아닌 것이죠.
이런 일련의 기본적 노력을 모두 충실하게 실행한 뒤, 법적 대응을 논의해도 늦지 않습니다. 법적 대응을 실행하기 위해서도 과연 어떤 것이 사실인지를 회사가 정확하게 확인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에 기반해 기자의 기사 내용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사실과 다른 것인지를 판단해야 합니다. 더 나아가 그 다름을 통해 기자에게 어떤 법적 책임을 물을 수 있을지를 확정해야 합니다. 많은 기업들이 이런 과정을 쉽게 건너 뛰거나, 대충 정리하여 법적 대응을 결정하는 데, 그러면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로펌의 자문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일부에서는 일단 회사가 법적 대응을 천명하면, 해당 기자가 위축되고, 다른 언론사들이 따라서 유사한 내용을 취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 이야기합니다. 물론 그렇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런 목적의 법적 대응이라면 더욱 더 앞 노력과 과정을 제대로 해 놓아야 할 것입니다.
흔히 회사가 언론에 재갈을 물리려 한다고 기자들이 비판합니다. 회사측에서는 그것이 튼튼하고 제대로 작동하는 재갈이어야 효과가 있을 것입니다. 약하고, 부실해서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그러한 무모한 시도부터 더 큰 문제를 발생시킵니다. 사실관계 파악이 정확한 기자를 향한 그런 어설픈 시도는 재앙을 불러올 수도 있습니다. 쉽게 결정할 일은 아니라는 의미입니다.
# # #
Communications as Ikor에서 더 알아보기
구독을 신청하면 최신 게시물을 이메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